ADVERTISEMENT

‘공룡권력’ 한계 드러낸 검찰 대수술 필요성 스스로 입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현직 검찰총장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정면 충돌한 사상 초유의 ‘검란(檢亂)’은 30일 한상대(사진) 검찰총장의 사퇴 발표로 일단락됐다. 겉으로 보기에 패자(敗者)는 한 총장인 것처럼 보인다. 한 총장은 전날까지만 해도 “검찰 개혁안을 발표한 뒤 대통령의 신임을 묻기 위해 사표를 내겠다”고 말했다. 중수부 폐지를 골자로 하는 자신의 개혁안을 임명권자인 대통령이 받아들이면 총장직에서 물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계산’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부하 검사들로부터 “물러나라”는 얘기를 들은 검찰총장의 무능한 리더십에 대한 여론이 악화됐다. 청와대 역시 한 총장이 사퇴하지 않을 경우 벌어질 검찰의 내부 갈등을 좌시할 처지가 아니었다.

  한 총장 사퇴와는 별개로 검찰 조직 전체는 만신창이가 돼버렸 다. 검찰총장과 총장을 보좌하는 검사들이 서로 치고받는 과정에서 국민들은 대한민국 검찰이 얼마나 문제투성이인지를 분명히 인식하게 됐기 때문이다.

 검찰로서 무엇보다 뼈아픈 건 검찰이 이젠 자체적으로 개혁할 수 있는 동력을 거의 상실했다는 사실이다. 정치권에선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정권을 잡는 대로 검찰을 뜯어고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이날 “검찰을 아예 새로 만들겠다는 각오로 개혁하겠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누구보다 깨끗해야 할 검사들이 차명계좌로 돈을 받고 사건 관계인과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일들이 벌어졌다. 검찰 같은 권력기관이 국민 위에 군림하는 일이 절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도 김현 대변인 성명을 통해 “ 검찰 수뇌부가 집단 쿠데타로 총장을 쫓아낸 꼴”이라며 “쿠데타 상황을 연출한 검찰 수뇌부는 전원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도대체 검찰은 왜 이 지경이 됐을까. 무엇보다 검찰의 비대한 권력이 원인이란 지적이 많다. 다른 고시(5급 사무관)와 달리 사법시험에 합격하면 바로 3급(부이사관) 처우를 받는데다, 차관급도 정부 부처 중 가장 많은 54명이나 되고, 수사와 기소권을 독점하는 등 막강한 권한을 누리는 게 검찰이다. 그러나 검찰은 지금까지 국민들의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개혁다운 개혁을 해 본 적이 거의 없다는 비판이 많다. 익명을 요구한 고검장 출신 변호사는 “법원은 10년 전부터 평생법관제나 국민참여재판처럼 권력을 분산하는 제도를 도입했는데 검찰은 한 게 아무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역대 정권이 너 나 할 것 없이 검찰총장과 핵심 검사들을 정치적 판단에 따라 임명해 온 것도 검찰을 망가뜨리는 중요한 이유였다. 검사들 사이에서는 거의 신망이 없는데 갑자기 요직에 오르고 총장이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었다.

또 다른 고검장 출신 변호사는 “법원은 기수(期數) 문화를 깨뜨리고 있는데 검찰은 못 그러고 있다”면서 군대조직 비슷한, 일방적인 지휘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정승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법무부를 문민화해 검찰과 분리시키고 법무부가 검찰에 대한 감찰권을 직접 행사하는 방식으로 외부 감시를 강화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