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곽노현 교육감 복귀, 면죄부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어제 서울중앙지법의 벌금형 판결로 120일 만에 교육감직에 복귀하게 됐다. 그는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기 전까지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라 직을 수행할 수 있다. 우리는 사법부의 판결을 존중하면서 이번 판결이 공직 선거 과정에서 직을 둘러싸고 빈번하게 벌어져온 후보자들 간 매수 행위를 인정해주는 전례처럼 받아들여지지나 않을까 우려한다. 후보자 사퇴나 단일화의 대가로 돈이 오고 가는 것은 그것이 선의(善意)이든 아니든 현행법상 용인될 수 없는 범죄 행위다.

 특히 교육계는 우리 사회 다른 분야보다 더욱 엄격하게 도덕성이란 잣대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교육감과 같은 교육 선출직이 최종 판결 이전까지 직무를 수행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본다. 벌금형이나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업무 복귀하고는 사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곽 교육감이 1심에서 유죄를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복귀가 미칠 파장을 생각해 보면 그 이유는 더욱 분명해진다.

 그는 측근들을 통해 “이대영 서울시교육감 권한대행이 서울시의회에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재의(再議)를 요구했으나 복귀하면 이 요구를 철회하고 즉각 조례를 공포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또 이 권한대행이 3월로 미룬 고교 선택제 수정안도 조속히 결정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교육감 공백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바꿔버린 정책을 이번 기회에 바로잡는다고 말할 수는 있을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넉 달 만에 복귀한 교육감이 정책의 방향을 바꾸고, 다시 몇 달 지나지 않아 직을 상실한다면 이런 오락가락 정책의 피해는 결국 학생과 학부모들이 질 수밖에 없다.

 학생인권조례가 학생들의 권리 주장만 강조할 뿐 책임은 방기하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학교폭력으로 신음하는 학교 현장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게 일선 교사들의 얘기다. 그런데도 서둘러 인권조례를 공포하는 게 급선무인가. 특히 곽 교육감은 이번 직무 복귀를 마치 면죄부(免罪符) 받은 양 처신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