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4000여 가구가 농촌행 “이제 ‘지역공동체’로 살기 고민할 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농림수산식품부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20년 동안 귀농 혹은 귀촌을 시도한 경우는 모두 합쳐 3만8000여 가구에 이른다. 지난해만 4000여 가구, 거의 1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새로운 삶을 찾아 농촌으로 터전을 옮겼다. 40·50대가 2600여 가구로 절반이 넘는다. 이에 정부는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귀농·귀촌 지원 정책을 펴고 있다.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도 만들었다.

시민단체들도 귀농·귀촌을 돕는 다양한 강좌들을 제공하고 있다. 요즘 귀농·귀촌 강좌들은 직접 마을에 내려가 현장을 살펴볼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가능하면 실상을 직접 느껴보고 실패한 사례들까지 살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면 더욱 좋다.

이 중 희망제작소가 올해 처음 시작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귀농·귀촌 아카데미’는 단순한 농촌생활 적응을 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전에도 전국귀농운동본부 등이 “귀농이란 사람과 사람이, 사람과 자연이 함께 어울리며 공경하는 섬김과 살림의 새로운 사회와 문화를 일구는 운동”이라며 공동체적 삶과 생태적 가치를 강조해 왔지만, 이 프로그램은 아예 ‘지역에서 공동체로 살아가기’를 전면에 내세웠다. 28일부터 시작되는 강좌에는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와 임경수 이장(주) 대표 등이 강사로 나선다.

남편을 따라 귀농한 지 15년 됐다는 춘천 별빛지역아동센터의 이주연(44) 교사는 “우리같은 귀농 1세대는 생업을 아예 바꿔 농사 지을 생각만 했던 것 같다”며 “귀농 2세대가 ‘자기만족형’ 문화예술인들이라면 이제 3세대는 생태적 삶도 일구고 마을을 위해 뭔가 함께 일하려는 이들이 많은 것 같아 좋다”고 말했다. 희망제작소의 김두선 시니어사회공헌센터 팀장은 “요즘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책 등만 보고 귀촌이나 귀농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며 “정말 새로운 삶을 꿈꾼다면 지역공동체에서의 위치와 역할을 먼저 생각해보고 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성민 행복동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