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잘못 줄이기 쉬운 ‘되레’와 ‘외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9면

“주객전도(主客顚倒)는 주인과 손의 위치가 뒤바뀌어 손님이 되레 주인 행세를 한다는 뜻이고, 적반하장(賊反荷杖)은 도둑이 되려 매를 든다는 의미로 잘못한 이가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이다.” 두 사자성어의 뜻풀이에 나온 ‘되레’와 ‘되려’ 중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

 ‘예상이나 기대, 일반적인 생각과는 반대되거나 다르게’라는 뜻의 부사인 ‘도리어’의 준말로 ‘되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만 ‘되레’로 바루어야 한다. ‘도리어’가 ‘되려’로 줄어든 형태가 더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언중 사이에서 ‘되레’가 널리 쓰인다고 판단해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되레’와 관련해 헷갈리기 쉬운 말이 ‘오히려’가 줄어든 ‘외려’다. “방귀 뀐 놈이 외레 성낸다더니…” “잘못한 놈이 외레 큰소리야!”처럼 사용하는 이가 종종 있지만 ‘외려’로 고쳐야 맞다. ‘일반적인 기준이나 예상·짐작·기대와는 전혀 반대되거나 다르게’란 뜻의 부사 ‘오히려’의 준말은 앞의 두 음절이 ‘외’로 줄어든 ‘외려’를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도리어’는 ‘되레’로, ‘오히려’는 ‘외려’로 줄이는 게 바르다. ‘도리어’의 ‘어’와 ‘오히려’의 ‘려’가 준말에 그대로 남아 있다는 걸 생각하면 기억하기 쉽다.

이은희 기자

▶ [우리말 바루기]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