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만국의 납세자여, 눈 부릅뜨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김종윤
내셔널 데스크

민간투자사업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는 ‘요술 방망이’ 같은 거다. 철도나 다리 같은 사회간접자본(SOC) 구축은 몸에 혈관을 뚫어주는 것과 같은 국가의 핵심 과제다. 문제는, 나랏돈은 늘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래도 꼭 필요하다면 지어야 한다. 고민 끝에 나온 게 남의 돈을 끌어들이는 방식이다. 민간의 돈 말이다. 1994년 ‘민간유치촉진법’이 나온 배경이다.

 취지는 좋았다. SOC 시설을 민간이 건설하고 운영하면 창의와 효율성도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문제는 사업성이었다. 돈이 안 되는데 민간 투자자가 투자하겠다고 나올 리 만무했다. 당근이 필요하게 된 이유다. 운영수입보장이라는 위험분담장치가 그래서 도입됐다. 99년에 개정된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이다. 민간투자사업은 이때부터 활성화했다.

 그런데 이 제도, 선거로 시장과 군수 등을 뽑는 지방자치제도와 화학적 결합을 하면서 ‘독소 물질’을 만들어낼 줄 아무도 몰랐다. 민선 지방자치시대가 되면서 선출된 시장들은 업적에 눈이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 다음 선거가 기다리고 있어서다. 지자체의 곳간도 중앙정부와 다를 바 없다. 오히려 곳간은 더 휑하다. 그래서 나온 게 사업성을 부풀리는 뻥튀기 수요예측이다. 주민들을 설득하려면 “충분히 사업성이 있다”는 거짓말이 필요했다. 하지만 돈 냄새에 민감한 민간사업자는 그 정도에 넘어가지 않는다.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아예 통 큰 카드를 꺼냈다. 적자가 나면 메워주겠다는 약속이다. 이건 절묘한 아이디어다.

 적자를 메워주는 돈은 시민의 세금이다. 그러나 당장 세금이 나가는 게 아니다. 보통 철도나 다리를 건설한 민간사업자에게 30년간 관리운영권을 준다. 이게 대표적인 민간투자사업인 BTO(Build Transfer Operate: 건설 이전 운영) 방식이다. 한목에 나가나, 30년간 지급하나 세금으로 적자를 메우는 것은 같지만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곳간이 비는 속도가 다르다. 30년간 나눠 적자를 보전해 준다는 말은 내 임기 때는 곳간이 비어도 별로 티가 안 난다는 뜻이다. 지자체장의 임기는 길어야 12년(3연임)이다. 계약 맺고 공사하다 보면 자신의 임기 때 곳간이 거덜날 염려는 없다. 뒤로 떠넘기면 그만이다. 2004년 7월에 하루 평균 승객을 14만 명으로 부풀리고,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비율을 90%로 정해 경전철 사업계약을 맺은 이정문 전 용인시장의 임기는 2006년 6월까지였다.

 SOC 재정투자 대비 민간투자의 비중은 1995~97년에는 1.2%에 그쳤으나 2006년에는 17.4%에 달했다. 올해에는 20%를 넘어설 전망이다. 제2, 제3의 용인 경전철이 전국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는 얘기다. 내가 낸 세금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무관심하면 결국 내 주머니는 털린다. 그 피해는 나에게서 그치지 않고 자식들에게도 대물림된다. ‘만국의 납세자여, 눈 부릅뜨자!’

김종윤 내셔널 데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