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G20 정상회의, ‘환율합의’ 마무리가 중요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역사적인 주요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정상회의 행사를 위한 준비도 이제 마지막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G20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는 행사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물론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G20 서울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치러졌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행사 진행뿐만 아니라 내용 면에서도 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뚜렷한 성과를 이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서울 정상회의의 핵심 의제에서 모두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관건이다. 그중에서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현안은 뭐니뭐니 해도 환율전쟁의 종식 문제다.

 환율문제는 지난달 경주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뚜렷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시장 결정적인 환율제도’로의 이행이라는 원칙적 합의와 함께 ‘지속가능한 경상수지 유지’라는 방법론이 채택된 것이다. 이로써 환율전쟁으로 인한 세계경제의 파국적 결말을 피하고 G20 정상회의에서도 환율문제를 원만하게 합의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커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재무장관들의 합의는 어디까지나 실무적이고도 원칙적인 합의에 불과하다. 정상들의 합의에 앞서 기본적인 윤곽을 제시한 것이다. G20 정상들의 최종 합의를 위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논의와 조율이 필요하다.

 당장 G20 서울 정상회의를 일주일 앞둔 지난 4일 미국이 단행한 2차 양적 완화(돈 풀기) 조치가 정상들의 환율 합의에 중대한 걸림돌로 대두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국내 경기부양을 위해 6000억 달러(약670조원)를 시중에 풀기로 하자 중국과 브라질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이들은 기축통화인 미 달러화가 대량으로 풀리면 달러 가치는 떨어지고 자국통화 가치는 올라 세계 환율체계가 혼란에 빠진다는 주장이다. 신흥국 그룹의 핵심 국가인 중국과 브라질이 미국의 양적 완화를 계속 문제 삼을 경우 자칫 서울 정상회의에서 환율합의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현재 G20 회원국 사이에선 환율문제에 관한 막바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원만한 합의안 도출을 위해서는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역할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G2인 미국과 중국은 물론 선진국과 신흥국, 경상수지 흑자국과 적자국 사이에서 상충되는 이해를 조정해 최선의 합의안을 도출해야 할 책무가 지워진 것이다.

 우리는 환율논의가 세계경제의 동반 성장이라는 공통의 인식을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환율전쟁이 성장(成長)과 일자리를 더 차지하기 위한 다툼에서 비롯된 만큼 환율문제의 해결도 동반 성장의 길을 모색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자면 G20 각국이 개별적인 이해를 잠시 접고, 위기 때 발휘된 공조(共助)의 정신을 되살리는 노력이 절실하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는 말이 있듯이 환율문제의 해결도 마무리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