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석 칼럼] 나는야 흙에 살리라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생태주의의 빛과 그늘(상)

“적금 타 주택자금 마련되면, 을랑이 엄마/내다버린 생각들을 다시 챙겨/메추리가 뒤란으로 기어드는 산골마을/곱게 널린 노을 아래로 가자/가서, 솔가지 지펴 저녁연기 올리며 살자/집 둘레엔 듬성듬성 탱자나무 심어 울을 치고/빨래가 재주넘는 나일론줄도 달아보지 않으련?”10여 년 전 신문에 소개된 시 하나를 수첩에 넣고 다녔다. 그러다 절로 외운 김영남의‘초향(草鄕)’은 널리 알려진 건 아니지만, 심금을 울리는 뭔가가 있다.

“눈 감으면 언제라도 맑은 하늘이 숨 쉬는 고향 개울가”이야기가 그렇고, “밤이면 새끼줄 같이 긴 시를 쓰면서/달빛 쫓겨 가는 새벽 냇가 풀숲에 염소를 풀어 놓는”시골생활 묘사가 그러하다. 사실 ‘꿈에 본 내 고향’ 등 숱한 옛 노래도 “나는야 흙에 살리라”고 굳세게 다짐해왔는데, 그건 우리의 본능이자 인지상정이다. 추석마다 펼쳐지는 민족 대이동도 그 때문이리라. 문제는 그런 소박한 생태주의와 달리 우리시대 유행 품목이자 정치화한 생태주의다. 그렇게 왜곡된 생태주의, 변질된 생태주의에는 어설픈 센티멘탈리즘은 물론 허위의식까지 숨어있다는 걸 발견한 게 최근의 일이다.

직접적 계기는 진화학자 매트 리들리의 『이성적 낙관주의자』를 접한 기분 좋은 충격이다. 그에 따르면 그동안 우리는 도시를 깎아 내리며 시골·자연을 치켜세우는 걸 지치지 않고 반복해왔다. 그게 근거 있을까? 산업혁명 이후 역사를 훑어보라. 도시는 엄연히 진취적 장소이자, 인간해방의 공간이었다. “인도 여성에게 왜 뭄바이로 가려는가를 물어보라. 도시는 위험하지만 자유롭고, 또 수많은 기회의 상징이다. 반면 고향 땅이란 임금 없는 노동과, 숨 막히는 간섭과 통제만이 있는 곳이다. 19세기 미국의 헨리 포드에게도 그러했다. 그가 훗날 자동차를 발명했던 건 ‘미국 중서부 시골의 끔찍한 권태로부터 탈출했기 때문’이다.”

정문일침에 정신이 번쩍 났다. 도시에 살면서 막연히 시골을 동경하던, 몸 따로 마음 따로의 이중구조를 바로 잡아준 것이다. 사실 산업혁명 이후 서구·비서구의 숱한 젊은이가 도시로, 도시로 빨려 들어갔던 건 그곳의 자유와 숱한 기회에 매료된 탓이다. 그 결과 2008년을 기점으로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촌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게 됐다는데, 이런 거대한 변화는 누가 시키거나 강요한 결과가 아니다. 막상 우리는 도시의 매력과 역할을 인정하는데 매우 인색했다.

어쨌거나 한반도에 산업화가 시작된 1960년대 이래 사람들은 기회를 찾아, 자유의 공기를 따라 고향을 떠났다. 그 길은 헨리 포드가 걸었고, 지금 인도 여성들이 뒤따랐으며, 우리가 매년 추석 연휴 귀성 때 되짚어보는 코스다. 우리나라 도시인구는 무려 81.5%로, 일본(66.5%)·인도(29.4%)을 너끈히 앞선다. 그건 우리사회가 역동적이란 증거이지, 뿌리 뽑힌 삶을 산다는 슬픈 얘기가 결코 아니다. 문제는 ‘생태주의라는 괴물’이다. 그 괴물은 때론 우리 눈을 가린다. 여전한 4대강 반대 목소리가 그중 하나인데, 다음 주 생태주의 빛과 그늘을 마저 살펴보면 숨은 그림 하나가 모습을 드러낸다.

조우석 <문화평론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