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컷칼럼] 흰개미, 진화의 법칙
이번엔 흰개미였다. 꿀벌 실종사건으로 한동안 요란하더니 최근 서울 강남 주택가에 흰개미가 출현해 큰 소동이 일었다. 관계당국이 연합작전을 벌여 159마리를 박멸했다는 소식이다.
-
[선데이 칼럼] 정치권의 부당한 교육 간섭이 화 키운다
오세정 전 서울대 총장 한국인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은 70% 내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교
-
힘든 순간마다 용기 준다…중꺾마 보다 앞선 '그날의 기적' ['재활 명의' 나영무의 진담]
‘재활 명의’ 나영무의 진담 (진료실 담소) 칼럼 9) 붉은 6월의 행복한 추억 속으로 얼마 전 가족과 함께 서울의 한 쇼핑센터에 있는 냉면집을 찾았다. 주문을 마친 뒤 물을
-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탕수육, 아편전쟁 굴욕의 요리?
국제적으로 사랑받는 탕수육,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 사진 셔터스톡 탕수육은 여러 나라에 퍼진 중국 음식이다. 국경을 초월해 그만큼 다양한 입맛에 맞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에서는
-
[오병상의 라이프톡] 김정은의 모닝콜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북한의 위협을 상징하는 대표적 장면. 조선중앙방송이 지난해 3월 공개한 신형ICBM 화성-17형 홍보영상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현장지도하는 모습이다. IC
-
[비즈 칼럼] 구인난 택시업계 ‘임금체계’ 사회적 합의 절실한 이유
안기정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2019년 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업계가 마찰을 겪는 과정에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타협기구가 만들어졌다. 당시 논의의 결과가 바로 운송수입금 전액
-
[세컷칼럼] 간호법 파동이 남긴 것
지난 1년 넘게 논란에 휩싸였던 간호법 제정안이 오늘 국회 본회의에 다시 상정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미 거부권을 행사한 만큼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을 것이다. 그동안 간호법
-
부모를 알 권리는 누가 보장하나요? [김미애가 응답하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 「 한 사람의 소리는 자칫 일방적으로 흘러갈 수 있습니다. 소통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반응이 필요합니다.〈소리내다〉는 대
-
[이일우의 밀리터리 차이나] 사우디 언론인 사망과 美·中 패권, 그리고 위기(上)
2020년 10월 2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살해된 사우디아라비아 출신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사망 2주기를 맞아 시민들이 카슈끄지의 초상화를 들고 이스탄불 대사관 근처에 서 있다.
-
[비즈 칼럼] 비흡연성 여성 폐암, 3세대 표적치료제에 거는 기대
안병철 국립암센터 종양내과 교수 매년 5월 3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1987년 제정한 ‘세계 금연의 날’이다. 흡연은 여전히 매년 전 세계 80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
-
‘IQ 98’ 아이에 낙담한 부모, 소아정신과 의사의 일침 유료 전용
“머리는 좋은데 노력을 안 해요.” “성적이 안 나오는 게 머리가 나빠서일까요?” 아이 공부와 관련된 부모의 고민 중 빠지지 않는 요인, 바로 ‘머리’입니다. hello! P
-
[조평규의 중국 컨설팅] 중국의 이차전지 산업과 우리의 대응
중국은 오래전부터 이차전지의 핵심 광물은 물론 중요한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에 대한 기술을 내재화하고 원가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공급망을 장악해
-
[정운찬 칼럼] 사회혁신 없이 더 큰 나라 될 수 없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 전·현직 국회의원과 고위 공직자들이 경쟁이라도 하듯 비리를 저지르고 있다. 압축성장 시대(1960~80년대)에 유행하던 인허가 부정비리부터 대장동 개
-
우울증갤러리 기획, 사회적 원인·극복사례도 다뤘으면
━ 독자위원회, 중앙일보를 말하다 중앙일보 독자위원회 5월 회의가 지난 23일 서울 상암동 중앙일보 사옥에서 김준영(전 성균관대 이사장) 위원장 주재로 열렸다. 독자위원들
-
[고수석의 용과 천리마] “북‧중 국경 개방이 신냉전 첫걸음 될까 두렵다”
중국 단둥에서 촬영된 압록강을 가로지르는 중국-북한 우정의 다리 근처. 북한 신의주의 한 공장이 보인다. 셔터스톡 “하루빨리 고향(북한)에 돌아가고 싶습네다.” 중국 단둥에
-
[서경호의 시시각각] 간호법 파동이 남긴 것
서경호 논설위원 지난 1년 넘게 논란에 휩싸였던 간호법 제정안이 오늘 국회 본회의에 다시 상정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미 거부권을 행사한 만큼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을 것이다.
-
반도체에 꽂힌 외국인, 한국 주식 폭풍쇼핑
올해 외국인 투자자가 코스피 시장에서 12조원 넘는 ‘폭풍 매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역대 최대 규모다. 외국인의 러브콜은 삼성전자와 현대차, 이른바 ‘전차(電車) 군단’에
-
반도체 ‘집단 대응’ 막기 총력전 나선 中… “韓, 美요구 거부해야"
중국 국수주의 매체 환구시보 영자지 글로벌타임스가 29일 미국이 한국 경제를 막다른 길로 몰아넣고 있다는 칼럼과 지난 1953년 미군 주력이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기아와 오염만 남
-
美는 막고 中은 유혹…마이크론발 반도체 기싸움, 韓만 등터진다
중국 정부가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에 제재를 내린 것과 관련해 최근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과 중국 언론에 연일 오르내리고 있다. 사진은 미국 버지니아주의 마
-
층간 소음에 까치발로 걸으면, 아이 걷는 자세 무너집니다 유료 전용
아이가 또래보다 작은가요? 너무 빠르게 성숙했나요? 우리 아이의 성장 고민, 운동으로 해결해 보세요. 어린이 운동 전문가 이수경 박사가 키 크기부터 체중 조절, 자세 교정까지 올
-
‘땅 찾아주기’ 소문난 그 남자, 가족에 돈 퍼준 뒤 벌어진 악몽 유료 전용
유품정리사로 일하게 된 지 벌써 15년이 넘었다. 이젠 이 낯선 직업을 알고 이해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었다. 매주 칼럼을 쓰고, 유튜브 채널까지 운영하면서부터는 나를 알아봐주는
-
‘32살 아재’가 훈련소 신병…‘나쁜 직장’ 찍힌 日자위대, 왜 유료 전용
신병이라고 하기엔 다소 늙수그레한 얼굴. 일본 자위대가 홍보하는 자위대원 후보생의 훈련 영상엔 ‘아재 신병’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일본은 2018년 10월 그간 26세였던 입
-
[장훈 칼럼] 누리호와 G8: 국가의 실력, 위신, 그리고 위험
장훈 중앙대 교수·본사 칼럼니스트 #1. 누리호가 푸른 하늘로 시원하게 솟구치면서 눌려 있던 우리의 마음도 함께 날아올랐다. 세계 7번째의 독자 발사체 국가라는 긍지는 그동안 북
-
[중국읽기] G7 성명에 중국이 웃는 이유
유상철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 겉과 속은 다르다. 얼마 전 끝난 G7 정상회의 이야기다. 겉으론 공동성명을 통해 중국을 20여 차례나 언급하며 때린 모양새인데 속으론 모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