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 근조화환문화의 패러다임 쉬프트, 근조 드리미 쌀오브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근조화환의 유래

장례식장에 가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흰색국화로 된 근조화환이다. 흰색국화를 3단으로 꽂아 만든 화환에 보낸 사람의 이름을 달아 장례식장에 놓는 문화는 우리나라 밖에 없다.

매서운 추위와 서리를 이겨내며 피는 꽃이기에 국화는 예로부터 절개와 고결의 상징으로 비유되며 매화, 난초, 대나무와 함께 四君子의 하나로 그림의 소재가 되거나 관상용으로 귀이 여겨 왔을 뿐, 장례식에 향을 피우는 유교문화에서 국화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국화가 장례식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국화를 죽음의 상징으로 여기는 유럽 서구문화가 유입되던 19세기 말로 추정된다. 흰색국화는 흰색 상복을 입는 우리민족의 장례문화와 맞고 흰색국화가 상징하는 정조, 고결의 뜻이 고인을 기리는 의미와 잘 어울려서 급속히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애도의 글을 비단에 써 붙이는 민족고유의 輓章(만장)문화가 더해져 오늘 날의 근조화환문화로 자리 잡은 듯하다. 시초야 어찌됐든 근조화환문화는 이제 우리민족 고유의 문화임에 틀림없다.

근조화환문화의 패러다임 쉬프트

장례식장에 들어 설 때 근조화환이 하나도 없으면 왠지 쓸쓸해 보이고 많으면 고인이나 상주의 부와 명예가 높아 보이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문제는 장례식이 모두 도시의 장례식장에서 행해지면서 시작됐다. 협소한 장례식장에 근조화환이 넘치면 꽃 없이 리본만 걸어 놓을 수밖에 없다. 정조와 고결의 상징 국화와 애도의 글 만장 리본문구는 간데없고 근조화환을 보낸 사람의 이름만 장례식장 벽에 붙어 있다.

근조화환을 보낸 사람의 성의를 배려한 고육지책에서 비롯된 것이니 이 또한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근조화환을 보낸 사람이나 받는 사람은 물론, 화훼농가에도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않는다.

근조화환을 보낸 사람은 국화와 애도문구가 없으니 서운 할 테고, 반입된 근조화환을 자체 폐기하는 일부 장례식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장례식장에서는 근조화환 반출이 허용되어 재판매되기 때문에 화훼농가에도 별 도움은 되지 않는다. 근조화환문화의 역사 한 세기가 지난 시점에서 사회적 명분과 가치가 희석된 근조화환문화는 이제 그 패러다임이 바뀔 때가 되었고 이미 바뀌고 있다.

근조 드리미

근조화환은 반입이 가능한 수량만 받고 나머지는 訃告를 통해 근조화환은 사양하고 대신 근조 드리米를 받는 喪家가 늘고 있다. 근조 드리미는 장례식장에 근조화환 반입이 불가할 경우 쌀 30kg과 애도문구가 포함된 근조 드리미 만장으로 10만원하는 근조화환을 대신하는 것이다.

상주입장에서는 화환 1개당 쌀 30kg이 남으니 고인의 뜻을 기리며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할 수 있고, 보내는 사람은 근조화환과 같은 비용으로 애도문구와 함께 자신의 이름을 표시하고 쌀 30kg을 함께 보낼 수 있으니 또한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아예 근조화환 대신 쌀로만 구성된 근조 드리미 쌀오브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꽃의 본질

3단화환은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기본가격이 10만원이다. 심지어 7~8만원 하는 것도 있다. 화훼농가의 화훼생산원가는 20년 전에 비해 몇 배가 상승했는데 화환 소비자가는 그대로니 어찌된 일일까.

이유는 재생화환에 있다. 재생화환판매의 성행은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되면서 예식장과 장례식장이 식후에 버리는 화환처리 비용을 자신들이 부담하게 된 제도적 배경과 애도를 표하는 꽃의 본질보다는 그 숫자와 보내는 사람의 이름 석자를 더 중시하는 세태 속에서 꽃의 신선도보다는 싼 것을 찾는 수요가 많아지는 시장원리가 작용하여 시작됐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에게 꽃이 최고의 선물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향기와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 어떠한 수사도 필요 없이 꽃 그 자체만으로 축하와 애도의 뜻을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선한 아름다움과 향기가 전해지지 않는 꽃은 더 이상 꽃이 아니다. 사람에게 평안과 안식을 주는 존재로서 사람 가까이서 아름다움과 향기를 발산하는 살아 있는 생명체 역할을 하는 것이 꽃 선물의 본질이다..

菊花에 대한 小考

국화의 경우 분화(화분에 담긴 꽃)나 小菊 절화(꺾은 꽃)는 거의 대부분이 관상용으로 쓰이지만 흰색大菊 절화의 경우 90% 이상이 근조화환용으로 소비되고 있다고 한다. 흰색대국을 죽음의 상징으로 여기는 유럽과 비교해도 일상생활 속의 소비는 거의 없다. 근조화환에 지나치게 편중된 소비성향이 국화의 소비증가를 오히려 저해하고 있다는 한 논문의 연구결과가 그 이유를 짐작케 한다.

조상들이 절개와 고결의 상징으로 가까이 두고 귀이 여겼던 꽃 국화, 국화의 효능은 논외로 하더라도 사람 옆에서 오래도록 향기와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꽃으로 국화만한 것은 없다. 국화가 죽음을 의미하는 꽃이 아닌 우리 생활 속의 꽃으로 가까이 올 때 그 소비는 늘어날 것이다.

도움말:드리미
문의전화: 1544-8489
홈페이지: www.dreame.co.kr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한 보도 자료입니다.>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