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찰인사 들여다 보면] 지역 시비 잠재우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15일 단행된 경찰 치안감 인사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안배다.

고참급 경무관들을 우선 승진시킴으로써 소위 '발탁성 인사'를 최소화한 점도 눈에 띈다.

편중인사 시비에 따른 내부 동요를 재우고 조직 안정에 무게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이팔호(李八浩)경찰청장에게 내린 '공정한 인사' 지시가 반영된 셈이다.

지방경찰청장 인사에서는 강원.충남.전북.전남.경북 등에 해당지역 출신들이 배치돼 이무영(李茂永)전 청장이 '비리 방지'를 명목으로 시행한 이른바 '향피(鄕避)주의' 원칙도 깨졌다.

◇ 영.호남 동수 승진=영.호남 출신의 승진이 동수(同數)로 균형을 이뤘다. 영남 출신 셋(이병진.김기영.허준영), 호남 출신 셋(이승재.임상호.박만순)이다.

경찰청 한 고위 간부는 "李청장이 인사로 인한 출신지역.계급간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데 역점을 둔 것 같다"며 "승진물망에 올랐던 일부 경무관 중 '지역안배'라는 요인 때문에 탈락한 사례도 없지 않다"고 해석했다.

이밖에 충북(김홍권).제주(이근표) 출신도 1명씩 승진했다.

치안감의 지역배분은 1999년 영남 7명.호남 3명에서 지난해 영남 6명.호남 5명으로 간극이 좁혀진 바 있다.

◇ 여전한 요직 배치=그러나 경찰청 정보국장.치안비서관 등 핵심보직에 다시 호남 인사들이 배치돼 내년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의식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특히 경찰청 정보국은 주요 인사 동향이나 선거 관련 정보들을 취합.분석하는 자리여서 역대 정권마다 집권세력과 같은 지역 출신이 독점해왔다. 현정부 들어서도 이 원칙은 깨지지 않아 이대길(李大吉)서울청장을 비롯해 모두 호남 간부들이 바통을 이었다.

한편 정보문건 유출사건 파문을 겪은 유봉안 제주경찰청장 등 연령 정년(44년생.3명)과 계급 정년(3명)에 해당되는 간부 6명은 이번에 대기발령 조치됐다.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