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시답잖은 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9면

실없는 농담 끝에 “시덥잖은 소리는 이제 관두자!”라는 말로 대화를 마무리할 때가 있다. 탐탁지 않은 소리는 그만하자는 것인데 이는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이다.

흔히 ‘시덥잖은 소리’로 쓰지만 ‘시답잖은 소리’로 바루어야 한다. 마음에 차지 않아 흡족하지 못함을 일컫는 말은 ‘시덥잖다’가 아니라 ‘시답잖다’이다. 마음에 들어 만족스럽다는 뜻의 형용사 ‘시답다’의 어간 ‘시답-’에 부정의 표현 ‘~지 않다’가 붙어 이뤄진 말이므로 ‘시답잖다’가 된다.

‘시답다’는 주로 ‘~지 않다’ ‘~지 못하다’와 함께 ‘시답지 않다’ ‘시답지 못하다’의 형태로 쓰인다. 이를 “내 제안이 별 시덥지 않은 모양인지 아무 반응이 없어” “유감스럽지만 시덥지 못한 생각인 것 같아”처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시답지 않은’ ‘시답지 못한’으로 고쳐야 한다.

‘시답다’와 비슷한 형태의 ‘실답다’란 말도 있다. ‘실답다’는 꾸밈이나 거짓 없이 참되고 미더운 데가 있음을 뜻하는 형용사로, “그와 실다운 대화를 하고 싶었으나 결국 실답지 않은 얘기만 주고받았다”와 같이 쓰인다. ‘실답지 않은 얘기’는 ‘실없는 얘기’라고 해도 의미가 통한다. ‘실없다’는 말·행동이 실답지 못함을 이른다.

이은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