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치교육이 독일통일의 토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우리 사회에는 감상적 민족주의나 통일지상주의가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 국민은 과연 그런 주제에 대해 이성적으로 토론해 볼 기회가 있었는가."

제1차 한국.독일 국제학술회의(20~22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전득주(65.숭실대 정치학) 교수가 제기한 의문이다. 숭실대.베를린자유대가 공동 주최한 이번 회의의 주제는 '정치교육'. 권위주의 정권 시절에는 '반공 교육'이나 '의식화 교육'을 연상시키던 이 용어의 의미를 되새기고 바로잡는 자리였다.

회의 준비위원장이기도 한 전 교수는 "정치교육은 시민 개개인이 특정 정파의 이데올로기로부터 거리를 두고 우리 사회의 화두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을 갖게 하는 교육"이라며 "정치교육이 발달한 독일이 통일에 앞서 '정치교육원'을 만들어 민주시민을 육성하고 토론문화를 성숙시킨 사례를 배우자"고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특히 정치교육과 언론의 관계가 주목을 받았다. 독일 슈피겔지 기자 출신인 보도 초이너(62.베를린자유대 정치학) 교수는 "언론의 비중이 막대해진 '미디어 정치'시대에 정치교육의 목표는 학생.시민의 매체비판 능력을 높이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또 양성호(58.건국대 언론정보학) 교수는 "의회민주주의 체제는 의회.정부.정당.시민단체.대중매체 가운데 어떤 집단도 다른 집단을 완전히 지배하지 않아야 지속될 수 있다"며 "따라서 '언론개혁'은 잘못된 용어이고, 굳이 '개혁'이란 말을 쓰려면 그것은 언론 자유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기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