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제2 벤처 붐’, 머니 게임 교훈 잊어선 안 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중소기업청이 1000개의 녹색기술 벤처기업을 키우겠다는 내용의 ‘제2기 벤처기업 육성대책’을 발표했다. 지난달 이명박 대통령은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청년 실업을 해소하고 기업가 정신을 되살리기 위해 제2의 벤처 붐을 일으켜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일주일 만에 나온 종합선물세트인 만큼 획기적인 내용을 기대하기는 무리다. 2004년 ‘벤처 활성화 대책’과 비교하면 지원 규모가 커졌을 뿐 흡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모태펀드 조성, 인수합병(M&A) 활성화, 패자부활전 도입 등은 판박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벤처를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적지 않은 소득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벤처기업은 2만 개에 육박하고 있다. NHN은 매출액이 1조원을 넘었고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의 벤처만 202개에 달한다. 엔씨소프트와 서울반도체는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었다. 김대중 정부 때 시작한 ‘벤처 1기 정책’이 나름대로 성과를 거둔 셈이다. 그러나 벤처 거품이 낳은 후유증 또한 컸다. 정부 지원금을 노린 ‘무늬만 벤처’들이 쏟아져 나왔다. 대부분 기술개발을 외면한 채 도덕적 해이에 빠져 머니 게임만 일삼다 흔적도 없이 증발됐다. 1세대 간판 벤처 경영자의 상당수가 분식회계나 횡령, 주가조작 등으로 사법처리된 대목도 아픈 상처다.

이미 벤처기업은 우리 경제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대기업의 고용 흡수 능력이 갈수록 떨어지는 만큼 일자리 창출과 청년 실업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벤처기업은 새로운 대안이다. 기술과 아이디어,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벤처기업의 분발 없이는 또 한번 한국 경제의 도약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정부의 과잉지원이 부를 부작용은 경계해야 한다. 정부의 역할은 규제완화를 통해 벤처 생태계가 창업-성장-재생의 선순환을 할 수 있도록 척박한 토양을 바꾸는 데 머물러야 할 것이다. 나머지는 시장과 민간부문에 맡겨야 한다. 과거 정책적 과보호를 받은 1세대 벤처들은 거의 실패했다. 이에 비해 성공신화를 낳은 벤처의 대부분은 정부의 지원 없이 자력으로 역경을 뚫고 일어섰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