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치매 원인은 50가지, 절반은 막을 수 있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혈관 변화가 일어나는 40대부터 치매 예방에 나서야 한다. 사진은 모형퍼즐을 이용해 인지 능력, 공간 지각력을 높이는 치료를 받고 있는 치매 환자. [김태성 기자]

40세 때 고혈압, 48세 땐 당뇨병 진단을 받았던 이영득(55·가명)씨. 하지만 치료를 소홀히 한 채 매일 소주 한 병과 담배 한 갑을 친구 삼아 지냈다. 급기야 오른쪽 팔·다리 근력이 약해져 병원을 찾았다. 뇌단층촬영 결과, 뇌에 작은 뇌경색이 여러 군데에서 발견됐다.

담당 의사는 “금연·금주 하며 고혈압과 당뇨병을 적극 치료받지 않으면 치매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래도 이씨는 “업무상”을 핑계로 생활 습관을 바꾸지 않았다.

이씨는 4년 뒤인 54세부터 약속을 잊거나 중요한 물건을 흘리고 다니는 일이 잦아졌다. 사소한 일에도 불같이 화를 내 가족에 이끌려 병원을 다시 방문했다. 진단은 반복된 뇌졸중에 의한 ‘혈관성 치매’였다.

65세 이상 42만 명 치매 … 한해 의료비 3800억

오늘(2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치매의 날’이다. 고령화 사회를 맞아 날로 증가하는 치매에 적극 대처하자는 취지다. 우리나라도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는 8.4%(42만 명)며 치매로 가는 길목인 경도인지장애도 인구 네 명 중 한 명꼴이다. 치매 환자를 위해 국민이 지불하는 의료비는 2001년 344억원에서 2008년 3817억원으로 무려 10배 이상 늘었다. 요양비와 가정에서 관리하는 비용을 포함하면 천문학적인 수치가 된다.

문제는 치매가 이렇게 ‘사회적 고부담 질병’이 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인식은 낮다는 것이다. 이씨의 경우처럼 당뇨병과 고혈압을 철저히 관리하지 못해 치매로 진행된 안타까운 사례들이 비일비재하다.

당뇨병·고혈압 관리, 조기 발견하면 예방 가능

치매의 원인은 50여 가지나 된다. 전체 환자의 10~15%는 외상이나 종양·알코올 등에 의해 치매가 발생한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같은 혈관질환도 전체 치매 원인의 20~30%나 된다. 우울증도 치매 증상을 보인다. 알츠하이머가 아닌 이들 치매는 정확한 진단 뒤에 조기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정상으로 돌아온다. 치매의 50% 정도는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한 셈이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이동영 교수는 “중년기부터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심장병 등 뇌혈관을 손상시킬 위험 요인을 적극 관리하면 혈관성 치매는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머지 알츠하이머 치매도 조기 발견해서 약물 치료를 하면 병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요즘 ‘경도인지장애’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정상과 치매의 중간단계, 즉 치매의 전단계다. ‘뇌기능 관리’라는 개념도 등장했다. 뇌의 사고 기능을 방해하는 질환과 상태를 미리 조절하고, 초기부터 치료함으로써 보다 나은 사고 기능을 갖고 여생을 보내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최근 일 자주 깜빡하면 치매 전 단계일 수도

미국의 메이요 클리닉은 경도인지장애 환자 270명을 10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매년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10∼15%가 치매로 진전돼 6년 동안 80%가 중등도 환자가 됐다. 치매로 가는 길목을 차단하기 위해선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의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경도인지장애의 주요 증상은 기억력 장애. 을지대병원 신경과 윤수진 교수는 “일상생활을 하는 데는 큰 지장이 없어 흔히 ‘건망증’이라고 생각하기 쉽다”며 “이때 기억력 장애의 특징은 옛날 일은 잘 기억하는 데 반해 최근의 일은 깜박한다”고 말했다. 초기에는 사소한 일을 잊지만 차츰 빈도가 잦아지다가 중요한 일을 놓치고 만다.

경도인지장애가 건망증과 다른점은 동년배 보다 기억장애가 심각하고 작년보다 올해에 눈에 띄게 나빠졌으며 기억장애 정도가 심각하다는 사실이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나덕렬 교수는 “치매 중 가장 예후가 나쁜 알츠하이머병도 경도인지장애가 나타날 때부터 관리하면 치매로 진행하는 것을 최대한 늦추고 증상 악화를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경도인지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선 약물을 쓰면서 뇌를 자극하는 일을 생활화해야 한다. 첫째 수칙은 고혈압·당뇨병·고질혈증 등 뇌혈관 손상을 촉진하는 질병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 운동도 생활화하고, 식사는 채소·과일·저지방식 위주로 섭취한다. 또 읽기·쓰기·게임·정원 가꾸기 등 정신활동을 꾸준히 하면서 동아리나 모임에 참가하는 등 사회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65세 이후엔 증상이 없는 듯해도 매년 치매 검진을 정례화해야 한다. 또 중년에 발병하는 조기 치매도 증상을 간과하지 말고 즉시 병원을 찾아 치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황세희 의학전문기자·의사, 사진=김태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