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마을 ‘흉물’ 상엿집 사고 보니 ‘보물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경북 경산시 하양읍 무학산(해발 574m) 중턱.

우리 것을 지키고 연구하는 국학연구소 대구경북지부가 자리한 이곳에 최근 100년이 훨씬 지난 목조건물 한 채가 옮겨 세워졌다. 정자나 고택 같은 우아한 건축물이 아니다. 사람이 죽은 뒤 이승을 떠날 때 필요한 상여를 두는 상엿집(또는 곳집)이다. 국학연구소 대구경북지부를 이끄는 조원경(52·신학박사) 고문과 황영례(46·철학박사) 지부장 등이 2000만원을 주고 사들였다. 이 상엿집은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의 한 마을에 있었다. 수몰지역도 아닌데 마을 가운데 버티고 있어 개발의 장애물이 되자 주민들이 ‘흉물’을 처분한 것이다. 이전해 복원하는 데 트레일러와 대형 크레인이 동원됐다.

경북 경산시 하양읍 무학산 국학연구소 대구경북지부 터에 옮겨 세워진 상엿집 전경. [국학연구소 제공]


놀라운 것은 상엿집이 누각 형태로 화려하고 위엄을 갖춘 데다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는 점이다. 상엿집은 왼쪽 두 칸 마루와 오른쪽 한 칸이 창고 형태인 3칸 건물이다. 상량문에는 1891년 세 번째로 옮겼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고건축 관계자들은 상엿집의 목재로 미뤄 300년쯤 된 것으로 추정한다.

조 고문 등이 상엿집을 옮긴 뒤 내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희귀자료들이 나왔다. 먼저 대형 상여를 올려놓고 32인이 멜 수 있는 7m60㎝ 방틀이 있었다. 방틀은 큰 것 7개, 작은 것 6개였다. 상여는 크기에 따라 8명, 16명, 24명, 32명이 메는데 상여꾼이 몇이냐에 따라 망자의 신분이나 가세를 추측할 수 있다. 장례에 쓰던 구슬픈 소리를 내는 종 등 각종 제구와 상여를 누가 멨는지 등을 적은 문건 등도 수십 점 발견됐다. 자천리 주민은 30년 전까지 상여를 멨다고 증언했다.

상엿집을 귀신집으로 여겨 금기시하는 문화가 이들 자료의 보존을 가능케 한 것이다. 현재 문화재로 지정된 상엿집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의 1동(경북도 문화재자료 제384호)이 있다.

조 고문은 “자칫 사라질 뻔한 죽음의 문화를 용케도 지켜낸 게 뿌듯하다”며 “삶의 문화만큼 소중한 게 죽음의 문화여서 상엿집을 사들였다”고 말했다. 황 지부장은 “경산시에 문화재 지정을 신청했다”며 “7월쯤 상엿집 복원의 의미와 보존 방향 등을 놓고 세미나를 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남아 있는 제구를 이용해 실제로 행상을 꾸려 보고 전통 장례문화를 정리할 예정이다.

경산=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