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워룸’에 힘 싣는 이 대통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이명박 대통령이 6일 오전 청와대에서 새해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청와대 비상경제상황실이 6일 활동에 돌입했다. 비상경제상황실은 청와대가 전시(戰時)에 준하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워룸(전시국가종합상황실)’처럼 운영하겠다는 기구다. 특히 이 상황실 설치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의지가 강했다는 사실이 관가에 전해지면서 앞으로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참모들에 따르면 비상경제상황실 설치는 경제수석실에서 낸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처음에는 기존 경제금융비서관실을 상황실로 전환하는 쪽에 무게가 실린 구상이었다. 새 회의체를 꾸려야 할 필요성은 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그런데 이 대통령은 주저하지 않고 “별도의 상황실을 설치하라”며 특단의 조치를 요구했다. 이후에도 청와대 일각에서는 “각 부처를 화상으로 연결하는 ‘온라인 회의체’ 정도면 되지 않겠느냐”는 기류가 있었지만 이 대통령이 ‘오프라인’을 고수했다.

또 이 대통령은 비상경제상황실의 틀을 짠 5일 수석회의에서도 강한 의욕을 보였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실장을 수석급으로 하는 게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개진했다. 청와대 수석은 차관급이다. 결국 “차관급이 실장을 맡으면 업무가 중복될 수 있으니 차관보급으로 하자”는 수석들의 의견을 수용하기는 했지만, 이 대통령으로서는 비상경제상황실에 힘을 싣고 싶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이 대통령은 비상경제상황실을 자신의 집무실이 있는 본관에 설치하는 방안도 생각했었다는 게 복수의 청와대 관계자들 전언이다. 하지만 본관에 집무실과 부속실 외에 각종 행사장이 많아 포기했다고 한다. ‘워룸’ 개념에 걸맞은 ‘벙커 상황실’의 아이디어는 육군 대장 출신인 김인종 경호처장이 냈다.

◆비상경제상황실 업무 시작=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은 6일 “11개 부처에서 온 국장급(비상경제상황실) 팀장과 과장급 팀원이 지하 벙커에서 업무에 착수했다”며 “이들은 일단 ‘비상경제전략지도’를 작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인선이 완료되면 인력은 4개 팀에 최대 5명씩으로 구성될 것”이라며 “상황실장에 대한 인선까지 모두 끝내 최대한 빨리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상황실 설치를 지원한 한 청와대 관계자는 “지하 벙커 방들 중 네 곳에 모두 15명의 책상을 마련했다”며 “대통령의 지시가 엄중한 만큼 각종 사무설비와 통신시설을 최대한 신속하게 갖췄다”고 했다.

김 부대변인에 따르면 비상경제대책회의는 8일 처음으로 열린다. 이 회의는 비상경제상황실 설치와 함께 이 대통령이 2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밝힌 ‘비상경제정부 체제’ 도입을 위한 조치다. 회의의 의장은 이 대통령이 직접 맡으며 앞으로 매주 열릴 예정이다.

남궁욱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J-HOT]

▶"낙폭 큰 강남 집값 바닥 빨리 올 수 있다"

▶ 숨진지 15개월만에 '미라'처럼 마른 상태로

▶ 강부자 "강남 땅부자·큰손? 돈 찾는법도 몰라"

▶ 명품 골프장 가도 "한국 골프장 그립다" 왜?

▶ 마돈나 도발적 포즈 광고…하루 출연료만 140억!

▶장쯔이, '해변 노출파문'에도 꿋꿋이 소지섭과 연기몰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