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엔 울면서 은행문 나섰지만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외환위기 때 자금이 워낙 급해 1조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하려고 아침 8시부터 은행 앞에 쪼그리고 앉아 있었습니다. 출근하는 은행장에게 통사정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해 울면서 은행 문을 나서곤 했어요. 다시는 은행을 찾지 않겠다고 다짐했죠. 그랬던 은행장들이 요즘은 반대로 제 방에 찾아와 (돈을 맡겨 달라고) 사정을 합니다.”

삼성전자 최도석 사장이 2005년 5월 한 대학 강연에서 외환위기 당시 상황을 털어놓은 대목이다. 그때는 이처럼 한국을 대표하는 회사마저도 금방이라도 날아갈 것 같은 위기에 내몰렸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10년여 만에 또다시 우리 경제가 위기와 맞닥뜨렸다. 일각에서는 제2의 외환위기를 거론할 정도다. 그러나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7년 당시와 10년이 지난 지금 주요 기업들의 내실은 큰 차이가 있다. 이들의 체력이 몰라보게 강해진 만큼 이번엔 IMF 구제금융 신청과 같은 극단적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부채비율 뚝=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10대 기업의 재무 구조는 외환위기 이후 크게 좋아졌다. 글로벌 일류 기업으로 손색없을 정도다. 삼성전자의 현금 보유액은 지난해 말 현재 6조8897억원으로 97년에 비해 403% 증가했다. 97년 말 현재 10대 기업의 현금성 자산(현금+단기금융상품)은 평균 4489억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현재 평균 현금성 자산은 1조8949억원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뚝 떨어졌다. 97년 당시 10대 기업 중 부채비율이 100% 밑이었던 곳은 공기업이었던 KT&G뿐이었다.

지난해 부채비율 100%를 웃돈 기업은 현대중공업과 KT·신세계 등 3개에 불과했다. 97년 295%였던 삼성전자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11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 포스코와 한국전력·KT&G는 부채비율이 50%도 넘지 않았다.

수익성도 확 좋아졌다. 지난해 10개사의 평균 순이익은 10년 전의 10배로 불어났다. KT&G와 KT·신세계 등 3개사를 뺀 나머지 기업은 모두 지난해 1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거뒀다. 97년 10대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모두 합친 금액이 지난해 삼성전자 당기순이익의 29%에 불과했다.

외형도 크게 성장했다.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97년 18조4654억원에서 지난해 이보다 242% 증가한 63조1760억원을 나타냈다. 신세계의 경우 같은 기간에 매출이 무려 438% 늘었다. 10대 기업의 매출은 평균 155% 증가했다.

◆1위 제품 급증=97년 당시 삼성전자가 세계 1등 하는 제품은 D램과 S램 등 2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현재 삼성은 LCD TV와 D램·낸드플래시 등 모두 11개의 1위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 삼성전자는 97년에야 간신히 미국에 휴대전화기를 처음 수출했지만 10년 만인 지난해는 세계 휴대전화 시장의 14%를 차지(세계 2위)했다. 현대자동차의 10년 전 대당 평균 수출가격은 8500달러였다. 그러나 이 금액이 지난해 1만4000달러로 뛰어올랐다. 또 현대중공업의 한 척당 평균 수주금액도 10년 새 두 배로 뛰어올랐다. 부가가치가 높은 선박에 치중한 덕이다.

피닉스자산운용 김석중 사장은 “주요 기업들은 외환위기 이후 재무건전성과 지배구조 투명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 세 가지 목표를 달성했다”며 “이들 기업은 어지간한 위기에도 헤쳐 나갈 힘을 충분히 갖췄다”고 평가했다.

이희성·장정훈 기자

[J-HOT]

▶ 물 타고 멜라민 섞다, 가죽으로 우유를…

▶ '배병수 살해범' 최진실 前 매니저 옥중서신

▶ 美박사 "이거 많이 먹으면 '알코올성 지방간' 청소"

▶ 십일조 개신교인 52%…연평균 얼마 내나 보니

▶ 30명 여자에게 정자 기증한 남자 때문에 발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