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짓기교실>2.시조형식의 이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시조와 자유시의 차이점은 일정한 틀의 형식성에 따라 완결의 미학을 추구하는가 아니면 자유방임적인 형식성에 따라 미완(개방)의 미학을 추구하는가 하는 점이다.
시조(평시조)는 3장(章)6구(句)12음보(音步)의 틀을 지닌 정형시며,정형시인 만큼 형식상 구속력을 가지고 있게 마련이다.그러나 세계의 여러 정형시들과 비교해 볼때 그 구속력이란 3장의 고정성 외에는 절제된 표현을 요구할 정도고 ,내적 구성력에 있어서는 많은 융통성을 지니고 있어 아무리 복잡한 경험의다양한 내용이라도 자유롭고 개성적으로 표현해 낼 수 있는 것이시조의 형식이기도 하다.
시조에는 평시조.엇시조.사설시조 등 세 형식이 있고,모든 시조는 초장.중장.종장의 3장을 겉틀로 하여 이뤄진다.
평시조는 3장6구의 의미 구조와 4음보가 세번(3장)중첩되는12음보의 음률로 구성되는 형식이다.평시조의 각(한)장은 2개의 구로 이뤄지고 각(한)구는 2개의 음보로 이뤄진다.이와 같이 이뤄진 장들 가운데 초장과 중장의 의미는 대 개 병렬로 전개되지만 종장에 이르러 동의적(同意的).반의적(反意的).종합적접속에 의해 종결됨으로써 시상이 완결되는 것이 시조의 의미 구조다.이 때 종장의 둘째 음보 이하에 의미의 중심이 오게 되므로 둘째 음보는 자수를 많이(5음절 이상)가지게 된다.이는 의미와 형식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필연적 결과로,첫째 음보인 소음보(3음절 이하)와 아울러 시조의 중요한 형식성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시조의 음률 형식은 4음보율이다.
초장:소음보.평음보.평(소)음보.평음보(4음보) 중장:소음보.평음보.평음보.평음보(4음보) 종장:소음보.대음보.평음보.소음보(4음보) ※소음보는 3음절 이하 평음보는 4음절=기준 음절,대음보는 5음절 이상 이와 같은 4음보율이 시조의 음률 형식이고 모든 음보는 등시율(등장률)이며 음절수를 제한하지 않는다.이상과 같은 시조의 의미 구조와 음률 형식을 이해한다면 누구나 좋은 시조를 지을 수 있으리라 본다.
김제현〈경기대교수.시조시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