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당대 컬렉터 사로잡은 회화의 추사체 -吾園장승업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2호 04면

오원 장승업 작 ‘오동폐월(梧桐吠月: 오동나무 아래에서 개가 달을 보고 짖다)’, 견본담채

5월 18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 성북동 성북초등학교 정문 옆 간송미술관(02-762-0442)은 잠시 100여 년 전으로 시간을 이동한다.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고풍스러운 유리 진열장 안에 오원 장승업과 그의 후학들 그림 100여 점이 빼곡하다. 고서화가 즐겨 다룬 낡은 소재는 여전하지만 오늘 우리가 보고 느끼는 시선과 그리 다르지 않은 화면이 관람객을 맞고 있다.

오동나무 아래서 보름달을 올려다보며 짖는 개의 모습(장승업의 ‘오동폐월’)이 살갑다. 가을밤의 서늘한 정취가 피부에 와 닿는 듯하다. 말이 뛰놀고(장승업의 ‘호치비주’), 새가 우짖는(장승업의 ‘군연농춘’) 여덟 폭 병풍 그림을 죽 이어 지나가노라면 활동사진을 보는 듯 마음이 즐거워진다. 엉성한 듯 재기 발랄한 그림 맛이 눈에 착 감긴다. 슬근슬근 붓질 소리가 들려올 듯 감각적인 화면에 술 냄새 살짝 밴 풍자와 해학이 번져난다. 옛날 그림이되 오늘의 감성을 지녔으니 오원 장승업은 19세기 말에 20세기를 이미 내다본 화가라 할 수 있다. 시대의 물결이 그의 몸을 밀어냈음일까.

전시를 기획한 최완수 연구실장(간송미술관 한국민족미술연구소)은 당대에 오원 그림이 인기를 모으고 많이 팔려나가게 된 까닭을 이렇게 설명한다. “오원이 태어나 살던 시기는 조선왕조가 500년 천수를 누리고 쇠망해 가느라 척족세도에 시달리고 있을 때였죠.

일찍이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 멸망을 예견하고 새 사회를 주도해 갈 새 이념으로 청조 고증학을 수용해 추사체라는 새로운 서화양식을 창안했는데 글씨에서는 상형적 회화미를 배가시키고 그림에서는 함축적 감필미(減筆美)를 추구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는 과거 학예에 대한 광범위한 검증 작업을 거쳐야만 가능한 일이었고 중국서화를 섭렵하는 것이 수련의 기초였죠.

오원 역시 감필체의 추상화풍을 따를 수밖에 없었지만 무학(無學)이었던지라 감각적으로 회화미를 표출하는 능력으로 추사체를 좇아갑니다. 더욱이 서세동점(西勢東漸) 현상이 노골화돼 조선 성리학은 물론 청조 고증학까지 서구 이념에 의해 부정당하고 이념 공백기를 맞고 있던 조선 말기 상황에서 이런 오원의 그림은 크게 환영받게 되죠. 학식 있는 사대부층의 몰락과 중서(中庶) 상공인 및 부농의 부상으로 수요층의 취향이 일변한 것도 한 원인입니다.”

서울의 경제 환경 변모에 따라가던 화단이 1894년 개혁파에 의해 주도된 갑오개혁으로 도화서가 폐지되며 큰 변혁을 맞게 된 것도 오원 같은 상업화가가 각광받게 된 요인이다. 전직 도화서 화원들이 광통교라는 서화 유통 공간에서 자신들의 회화를 본격적으로 펼쳐 보이기 시작했고, 그림이 사고팔리면서 다량 제작이 필요해진 것이다.

전시와 함께 나온 연구도록 ‘간송문화(澗松文華)’에 ‘오원 장승업 일파의 회화’를 쓴 김현권(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씨는 “장승업 역시 광통교 부근에 ‘육교화방’이라는 개인 화실을 열고 자신의 예술세계를 펼쳐나가며 제자를 길렀다”고 설명했다. 이곳을 찾아온 이가 심전(心田) 안중식(1861~1919)과 소림(小琳) 조석진(1853~1920)으로 두 사람은 글을 쓸 줄 모르던 오원의 그림에 대신 제발을 쓰고 스승을 이어 조선서화협회를 조직한 뒤 오원 화풍을 잇게 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들의 작품과 함께 직접 지도를 받지는 않았지만 오원 화파로 묶이는 지운영(1852~1935), 강필주(1850년대~?)의 그림을 나란히 볼 수 있다.

최완수 연구실장은 “심전의 제자가 홍익대 동양화과를 창설한 청전(靑田) 이상범(1897~1972)과 서울대 동양화과를 만든 심산(沁山) 노수현(1899~1978)이란 사실은 이번 전시회의 성격을 극명하게 드러내 준다”며 “현재 한국 동양화의 근원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보고 생각해야 할 전시회”라고 말했다.

오원 장승업이 시대의 격랑 속에 홀로 부대끼며 휘두른 붓질 속에 오늘 우리가 보고 있는 그림이 용틀임하고 있었던 것이다. 오원은 천재임을 자각하지 못한 천재였을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