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함께생각하는우리교육>종합생활기록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초.중등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 「5.31교육개혁」이 제시한 종합생활기록부가 2학기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부터 각급학교에서 일제히 실시되고 97학년부터는 부분적으로 대학입시 전형자료로 사용될 계획이다.
기존의 생활기록부에 교과목별 성취도.봉사활동.수상기록.자격증등 항목이 새롭게 추가돼 초.중등학교에서 지적발달과 인성발달이조화를 이루는 교육뿐 아니라,대학입시 선발의 다양화도 유도하게된다. 종래의 총점과 석차 위주의 학습관이 바뀔수 있고 과외 경쟁도 해소되어 궁극적으로는 개성과 개인의 적성이 중시되는 「학교교육의 르네상스」를 일으키려는 것이 이 제도의 도입 취지다. 과연 이 제도는 이같은 취지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지난달 29일 공청회에서는 다소 회의적 반응이 많았다.
당시 제시됐던 두개의 시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통해 현재 최종안 개발중에 있으나,기록부제의 성패는 기록부의 형식자체보다 더근본적으로 초.중등교육의 정상화문제와 맞물려왔던 대입선발제도와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지적되는 것은 자원봉사나 행동발달 특성등에 관한 항목들이 큰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입학전형자료로서는 계량화와 변별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다.
이때문에 대학들은 결국 학과성적에서 변별력을 찾으려 할 것이다.게다가 앞으로 계열별 모집이 되면 입시전형시 지원분야에 따른 과목별 가중치 부여도 제한될 수 있다.주요과목 위주의 학과목 성취도가 중시되어 결국 점수따기 경쟁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이런 문제는 종합생활기록부 양식의 수정.보완이나 기록방법의 기술적인 개선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정보의 차별성과 다양성은 대학이 자율적이고 주관적인 선발제도로 유도할 수밖에 없다.대학이 원하는 학생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학생들로 하 여금 종합생활기록부외에도 능력과 특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 제출을 요구하든가 하여 대학의 주관대로 평가해야 한다.
어떤 형태로든 자기 진로계획과 관심,개인적 경험,자기소개와 소견등을 대학에 알리는 책임을 맡아야 하는 것은 학생들 자신이다. 이젠 학생들도 점차 소극적 평가 대상의 자리에서 벗어나야할 때다.
초.중등교사의 역할은 이런 학습의 다양한 경험을 극대화할 수있도록 지원해 주는 일이 돼야 한다.
종합생활기록부는 형식화될 소지가 있는 부문을 과감히 없애고 보다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틀 안에서 교사.학생.대학등 주체들간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분업과 함께 정착돼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