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HOPPING] 3년 넘게 농약·화학비료 안 써야 ‘유기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5면

공해가 심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먹거리만큼은 깨끗하고 안전한 것을 추구한다. 조금 비싸긴 하지만 친환경 농산물에 손이 간다는 주부들이 많다. 농림부는 친환경 농산물이 올해 전체 농산물의 7%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들어 대형 마트에는 ‘친환경’이라는 이름을 단 채소와 과일이 부쩍 늘었다. 환경도 위하고 몸에도 좋다는 친환경 농산물, 제대로 알고 먹기 위한 다섯 가지 궁금증을 풀어봤다.

[1] 유기농과 친환경, 무엇이 다른가
 

친환경 농산물은 일반적인 개념이다. 환경 친화적인 농법으로 재배한 농산물을 이렇게 부른다. 농약·비료 등 화학적 재료를 전혀 쓰지 않거나 일반 기준보다 줄여서 쓴다. 어떤 성분의 농약과 비료를 얼마만큼 쓰느냐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한다.

자연상태에 가장 가까운 게 유기농산물이다. 유기농산물은 3년 이상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쓰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야채·과실·양곡)을 말한다. 3년간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고 3년째에 수확한 사과를 유기농 사과라고 한다. 3년 기간 중 수확물은 전환기 농산물로 부른다. 무농약 농산물은 농약은 전혀 쓰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량의 3분의 1로 낮췄다. 저농약 농산물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각각 안전기준의 절반까지 써서 재배한다.

[2] 유기농 과자도 있던데 …

친환경 농산물은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 확대됐다. 그 이전에는 건강 또는 유아식을 위주로 구매했다. 이후 친환경 신선식품은 해마다 10~15%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최근 소비자의 관심은 친환경 가공식품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친환경 농산물을 원료로 각종 첨가·착색·방부제 등을 넣지 않은 과자·음료·라면이 단골 손님을 확보하고 있다. 어린 자녀를 둔 30대 부부와 건강에 관심이 큰 50~60대가 많이 찾는다. 가공식품 매출은 한 해 30%씩 늘어 성장속도가 더 빠르다. 수도권 매장에서 친환경 농산물은 전체 농산물의 10~20%를 넘는다. 친환경 가공식품은 10% 수준을 차지한다.

[3] 유기농은 왜, 얼마나 비싼가
 

친환경 농산물은 저농약에서 유기농으로 올라갈수록 재배가 어렵고 생산량이 떨어진다. 농약을 적게 쓸수록 재배가 까다로워 값이 비싸다. 유기농산물은 일반 제품보다 값이 50~200% 더 나간다. 무농약 상품은 30~50%, 저농약은 20~30% 비싼 편이다.

유기농산물을 재배할 때 쓰는 친환경 액제와 친환경 퇴비는 일반 농산물 자재보다 2~5배 비싸다. 효과는 일반 농약보다 떨어진다. 병충해가 돌아도 강한 농약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때로는 수확량이 절반으로 줄기도 한다. 사람 손이 더 많이 필요한 것도 값을 높이는 요인이다. 국내에서 재배하지 못하는 유기농 설탕·밀가루 등은 수입에 의존한다. 하지만 친환경 재배 농가가 많아지면서 3~4년 전보다는 가격이 30~50% 떨어졌다.

[4] 품목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는가
 
품목에 따라 유기농 재배가 쉽고 어려운 차이가 있다. 사과·배와 같은 과실이 유기농 재배가 어려운 편이다. 전국 사과 농가 1만3000여 곳 중 50여 곳(0.004%)만이 유기농 사과를 재배한다. 재배가 까다로워 인증을 받기 쉽지 않다. 반면 시금치·상추 같은 엽채류와 토마토 등 비닐하우스 재배가 가능한 품목은 유기농 재배가 덜 까다롭다. 이마트에서 파는 유기농 사과(1㎏ 4000원)는 가격이 일반 사과(1㎏ 2000원)의 두 배지만, 유기농 상추(한 봉지 2000원)는 일반 상추(한 봉지1500원)보다 30%가량 비싸다. 전반적으로 친환경 농산물은 화학비료 사용을 자제하기 때문에 생육은 느리지만 더 단단하게 자란다. 과일이나 야채는 단단할수록 고소하고, 씹는 맛이 좋다.

[5] 어떻게 믿고 먹을 수 있나
 
비싼 값을 치르면서도 ‘진짜 유기농인 줄 어떻게 믿느냐’는 소비자들이 간혹 있다. 일반 농산물과 친환경 농산물은 육안으로 구별이 어렵다. 국가가 인증한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유기농은 녹색, 무농약은 푸른색, 저농약은 오렌지색이다. 농림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법으로 명확한 기준을 정해 시행하며 토양·수질·농약 잔류검사 등을 거쳐 인증을 부여한다. 인증 표기는 해당 농산물 포장 또는 용기에 표시해야 한다. 낱개로 파는 품목은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푯말로 나타낸다. 가공식품 인증은 아직 법제화되지 않아 의무사항이 아니다.

정리=박현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