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급변하는 기상에 맞는 재해대책 세워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태풍 ‘나리’가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지방을 휩쓸고 지나갔다. 추석을 앞두고 재난을 당한 이재민들의 피해가 안타깝다. 연이어 태풍 ‘위파’가 다가올 것으로 예상돼 추수를 앞둔 농민을 비롯해 국가 기간시설을 책임지고 있는 담당자들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태풍 ‘나리’는 중형 태풍임에도 제주도 기상 관측 사상 가장 많은 하루 560mm가 넘는 기록적 강우량을 나타냈다.

 최근 들어 태풍으로 인한 피해액수도 천문학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2년의 ‘루사’와 2003년의 ‘매미’는 각각 5조원 안팎의 재산피해를 가져 왔다. 또 태풍뿐 아니라 여름의 이상 폭염, 겨울의 이상 폭설 등 각종 기상이변이 잦아지고 있다. 이는 지구 온난화와 기상의 주기 변화 등 각종 영향력이 다양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댐이나 도로·철도 등 각종 기반 시설은 보통 50년 주기의 홍수, 100년 주기의 가뭄 등 과거 재해의 트렌드에 대비해 건설된다. 또 농작물도 과거 기후에 맞춘 방식으로 재배된다. 그런데 최근과 같은 기상이변이 되풀이된다면 이처럼 과거 트렌드에 맞춘 시설물이나 경작 방식으로는 재난에 대비하기 어렵다. 따라서 급변하는 기상 조건에 맞춰 어떤 빈도의 재해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대비 시설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가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재난 대비를 책임진 기관들이 철저하게 분석한 뒤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특히 기반시설 보강 등 하드웨어적인 대책과 재난 시의 위기 대응 체제 개편 등 소프트웨어적인 대비책이 함께 마련돼야 잦아지고 커지는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