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입시개혁 적극 수용을(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연세대가 95년부터 실시키로 한 특별전형제는 꽉 막힌 우리 교육의 답답한 현실에 새로운 돌파구를 열 수 있는 시도로 보인다. 이 제도의 실시를 위해 교육부가 적극적 자세를 취하기를 권하고 싶다. 이 대입 개선안은 단순히 소외계층 학생들을 선발하겠다는 복지적 차원을 넘어선 입시제도의 근본을 바꿀 수 있는 두가지 개혁적 의미를 담고 있다.
첫째,이 제도의 도입은 곧 지난 20여년 실시해온 성적평가에 의한 대입선발방식에 대한 획기적 변화를 의미한다. 시험과 성적만이 공정성을 담보했던 지금까지의 교육평가에서 봉사정신과 리더십 등 전인적 평가가 선발의 자료가 된다. 헌혈을 한번도 한 적이 없는 학생이 의과대학을 지원했을 때 비록 학과성적이 우수하지만 의료봉사 정신이 없다는 이유로 그 학생을 불합격시킬 수 있는 외국의 평가방식이 여기에 해당된다. 적어도 5% 안에서는 종래의 성적에 의한 평가보다는 전인적 평가로 선발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둘째,이 대입 개혁안은 말만으로 남아있는 학생의 선발권을 대학이 이제는 독자적으로 발휘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원래 대학자율이란 학생선발권의 행사에서 비롯되는게 원칙이지만 지난 우리의 대학사에서 학생선발권은 언제나 대학 아닌 국가가 행사해왔다. 그 연유는 60년대의 대학입시 부정과 70년 이후의 학원소요가 결정적 역할을 하면서 대학행정은 언제나 국가안보차원에서 다뤄졌다. 때문에 대학의 자율이란 언제나 공염불이었다. 심지어 대학등록금까지 국가가 정해줬던 시절이 불과 얼마전 일이다.
따라서 이 특별전형제가 담고 있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선 먼저 교육부가 적극적 입장에서 이 제도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직 공식적인 교육부의 입장발표가 없었지만 특별전형제의 의미를 평가방식의 변화와 대학의 자율이라는 원칙에서 본다면 이는 새 정부가 추진하는 교육개혁의 정신과 상통한다. 행여 행정권위주의에 사로잡혀 교육부에 대한 대학의 도전이라고 보지 말고,교육개혁을 위한 첫 관문을 여는 작은 돌파구라고 봐야 할 것이다.
연세대 특별전형제가 현실적 성과를 얻기 위해선 전인평가라는 무척 주관적 평가방식이 누구나 설득력있는 평가로 작용할 수 있게끔 대학은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쏟아야 할 것이다. 학생선발권을 대학 뜻대로 행사하려면 대학이 지금까지 보여왔던 부정적 측면들을 대학 스스로 척결하는 의지가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
성적에 의한 기계적 평가방식에서 전인적 평가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또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대학에 넘겨주는 첫 실험으로서 특별전형제 실시는 교육부가 주도적으로 법개정을 통해 실시해봄직 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