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진로교육 부재 심각하다/진학못한 10대 대책 전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 지각대응에 공고확충도 지지부진
진로교육의 부실이 엄청난 사회적 낭비를 낳고있으나 정부의 대응이 너무 늦다.
산업화에 따른 직업교육수요의 증대,시민의식의 변화 등으로 조기진로결정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높아가고 있지만 이를 선도하고 지원해야할 교육정책은 제대로 기능을 못한다. 이때문에 많은 10대 청소년들이 입시준비에만 치중하는 학교교육에서 소외돼 방황·탈선하는가 하면 이번의 뉴 키즈 광란소동 같은 빗나간 「또래문화」에 휩쓸린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적절한 진로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어려서부터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직업교육의 길을 다양하고 충분하게 열어놓아야 하는데 우리교육은 인문교육편향인데다 직업교육과정마저 부실하다고 말하고 있다.<관계기사 11면>
정부는 우선 직업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수요가 많은 공업계를 중심으로 95년까지 현재 66대 34인 인문고대 실업고의 비율을 50대 50으로 개선한다는 계획을 추진중이나 초장부터 난관에 부닥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첫해인 지난해 실업계고교 5백4개학급을 신설한다는 계획은 4백51개학급 증설로 목표량의 90%는 달성했지만 그중 공업계고교는 2백61학급으로 목표치인 83%에 훨씬 못미치는 58%에 불과했던 것으로 교육부 집계에서 드러났다.
교육부는 실업계교교중 28%에 머무르고 있는 공고를 목표연도까지 45%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인데 출발부터 빗나간 것이다. 이는 사립고교가 비용이 많이 드는 공고로의 개편을 기피하고 있는데다 우리사회의 뿌리깊은 인문고 선호성향 때문이다.
결국 해결방법은 국고의 대폭지원밖에 기대할 수 없으나 올해 예산은 요구액의 4분의 1에 불과한 2백85억원이 확보됐을 뿐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실업교육체계는 농·공·상·수산·가정의 다섯계열로 운영되고 있으며 농고의 경우 재학생이 정원의 70%밖에 안되는 반면 공업계는 지원자의 반수밖에 수용하지 못하는 불균형 상태다.
전체고교정원의 66%가 인문계 고교이면서 대학의 수용능력은 그의 40%수준에 못미치는 현실에서 대학에 못가는 인문계 졸업생의 진로지도가 큰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들에 대해 위탁직업교육을 실시하고는 있지만 수용능력이 수요에 턱없이 모자라고 학교의 자체교육은 시설과 교원의 문제로 실효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중학과정에서 진로를 탐색하는 교육과정과 체험활동 강화 ▲고교과정에서 진로선택과 취업준비체제 확립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특수재능아의 발굴·교육체제구축 ▲중·고교단계 중퇴자를 위한 직업훈련프로그램제공 등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늘어나는 산업인력수요에 대응하는 고교교육체제의 전면적인 개편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이덕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