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돌출 제안' "동해 → 평화의 바다로 부르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관계기사 4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8일 이 같은 사실을 공개한 뒤 "대통령이 한.일 두 나라 간에 놓여 있는 여러 현안을 대국적 차원에서 풀어나가기 위한 인식과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비공식으로 한 발언"이라며 "한.일 정상회담의 공식 의제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또 "당시 일본 측에서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이후 한국과 일본 간에 동해의 명칭을 바꾸는 문제에 관해 전혀 논의된 바도 없고, 논의하고 있지도 않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고위 관계자는 "당시 대통령의 발언은 한.일 관계를 큰 틀에서 풀기 위해 발상의 전환을 해 보자며 하나의 예를 든 것"이라며 "동해라는 명칭을 포기하기 위한 차원에서 한 발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지지통신은 일본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노 대통령이 그런 제안을 했으나 아베 총리가 거부했다"며 "그러자 노 대통령은 '이건 정식 제안이 아니니 없었던 이야기로 하자'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동해 표기와 관련한 정부 입장은 변화가 없다"며 "동해의 단독 표기, 또는 병기(倂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발언이 공개된 후 한나라당 유기준 대변인은 논평에서 "동해의 상징성과 독도 문제에 대한 국민의 생각을 무시한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비난했으며, 시민단체와 학자 등도 '부적절한 돌출성'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노 대통령 발언 요지="손해 보지 않으려고 미시적으로만 따지면 문제를 풀기 어렵다. 일본이 야스쿠니 문제나 역사교과서 문제에서 '이웃 나라를 존중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 '역사문제를 공동연구하자'는 등 새로운 협력관계를 위해 적극적인 제안을 내놓기를 바란다.

가령, 동해 바다를 한국은 동해라고 하고 일본은 일본해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두 나라가 '평화의 바다' '우의의 바다' '화해의 바다'로 하면 두 나라 사이에 대화의 토대가 될 것이다.

동해 바다 문제는 쉽게 풀리지 않을 문제다. 그러나 이런 문제를 풀게 되면 상대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것이라는 점에서 아이디어 차원에서 예를 들어 말한 것이다. 공식 제안을 하는 것은 아니다."

서울=박승희 기자,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