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때 그 LP…표지부터 예술이었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사진 1. 힙노시스는 록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프리즘 음반 커버로 유명하다.

사진 1. 힙노시스는 록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프리즘 음반 커버로 유명하다.

검정 바탕의 한 줄기 빛이 프리즘을 통과해 무지개색을 뿜어낸다. 과학 교과서에나 보던 이미지가 무려 741주간 빌보드 차트를 장식했다. 1973년 발매된 영국의 전설적인 록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명반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더 문’ LP 커버 얘기다. 지금도 티셔츠·문신·벽화 그래피티로 ‘힙스터’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방탄소년단(BTS)의 ‘불타오르네’(2016) 뮤직비디오에서 멤버 슈가와 악수하던 남자 몸에 불이 붙는 장면도 핑크 플로이드의 1975년 음반 ‘위시 유 워 히어’를 오마주한 것이다. CG가 없던 시절 스턴트 배우의 몸에 실제로 불을 붙여 촬영한 장면이었다.

두 앨범 커버 모두 1960~80년대를 풍미한 디자인 스튜디오 ‘힙노시스’(Hipgnosis)가 만들었다. 핑크 플로이드, 레드 제플린, 폴 매카트니, 피터 가브리엘 등 세계적 뮤지션의 음반 커버를 만든 선구적 회사다. 영국 그래픽 디자이너 스톰 소거슨(1944~2013)과 오브리 파월(78)이 1968년 공동 창업해 15년간 운영했다.

‘힙노시스: LP 커버의 전설’ 내일 개봉

록밴드 나이스의 음반 ‘엘레지’(2), 레드 제플린의 ‘프레젠스’(3), 핑크 플로이드 ‘애니멀스’(4) 커버도 대표작. 핑크 플로이드 ‘위시 유 워 히어’ 커버(5)는 BTS 뮤직비디오(6)도 오마주했다. [사진 티캐스트, 하이브]

록밴드 나이스의 음반 ‘엘레지’(2), 레드 제플린의 ‘프레젠스’(3), 핑크 플로이드 ‘애니멀스’(4) 커버도 대표작. 핑크 플로이드 ‘위시 유 워 히어’ 커버(5)는 BTS 뮤직비디오(6)도 오마주했다. [사진 티캐스트, 하이브]

이들의 전성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힙노시스: LP 커버의 전설’(감독 안톤 코르빈)이 다음 달 1일 개봉한다. 영국 록음악 황금기, 힙노시스가 이끈 새로운 이미지의 향연에 대한 경외가 느껴지는 다큐다. 제작자는 음악 애호가로 이름난 ‘킹스맨’ 배우 콜린 퍼스다. 개봉에 앞서 힙노시스 공동 창업자 오브리 파월을 e메일로 만났다.

그는 3월 초 힙노시스 대표작 및 미공개 작품을 소개한 전시(‘힙노시스, 롱 플레잉 스토리’) 개막에 맞춰 처음 한국을 다녀갔다. “영국에서도 자주 먹을 만큼 김치를 좋아하는데, 서울 김치 맛은 끝내주더라. 서울이 젊은이들이 주도하는 도시란 게 인상 깊었다”고 했다. 파월은 BTS의 오마주도 잘 알고 있었다. “BTS 뮤직비디오는 훌륭했다”며 “덕분에 힙노시스가 다시 관심을 끌게 됐다. 감사하다”고 밝혔다.

오브리 파월

오브리 파월

힙노시스가 전시·다큐 등으로 재조명되는 이유는 뭘까.
“2017년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서 열린 핑크 플로이드 전시 ‘언젠가는 사라질 그들의 잔해’(Their Mortal Remains)를 내가 디자인했다. 5개월간 41만 5000명이 관람했다. 이를 계기로 1960~80년대 문화와 함께 힙노시스 작품도 음반 커버를 넘어 순수미술 작품으로 주목받게 됐다.”
힙노시스의 대표작을 든다면.
“사하라 사막에 새빨간 축구공 60개를 늘어놓은 나이스의 ‘엘레지’ 음반 커버는 힙노시스가 처음으로 진지하게 풍경화를 시도한 사례다. 핑크 플로이드의 ‘위시 유 워 히어’는 배신당한 사업가를 불타는 모습으로 담았는데 노래 가사와 태도를 시각적으로 잘 요약했다. 레드 제플린의 ‘프레젠스’(Presence)도 꼽고 싶다. 흔한 록 음반 커버에서 탈피해 누구나 필요로 하는 모종의 에너지를 조각적 이미지로 표현했다.”
힙노시스 작품이 지금도 젊은 세대에게 오마주되는 이유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뿌듯하다. 젊은이들은 멋진 아이디어에 즉각 반응한다. 키스 해링, 앤디 워홀의 작품을 티셔츠·머그컵·엽서 등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것과 비슷한 경우라고 생각한다.”
커버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었나.
“초현실주의와 추상주의가 스톰과 나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끼쳤다. 르네 마그리트, 살바도르 달리 등 화가부터 영화 ‘황금시대’(1930)·‘안달루시아의 개’(1929)를 만든 영화감독 루이스 부누엘, 마르셀 뒤샹 같은 다다이스트…. 그들은 우리의 영웅이었다.
LP 시대와 현재 음악 소비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LP를 턴테이블에 올려놓고, 음반 커버를 자세히 들여다보던 종교적 의식과도 같은 경건함·경외심은 이제 사라졌다. 스마트폰·태블릿을 터치하는 무감동한 경험만 있을 뿐이다.”
시각적인 면에서 주목하는 예술가는.
“사진 작가로는 데이비드 심스, 나디아 리 코언. 뮤지션은 빌리 아일리시, 두아 리파, 릴 심즈, 스톰지.”
K팝의 비주얼 전략은 어떻게 평가하나.
“K팝은 팬덤을 위해 기획돼 매끈하고 건전할 수밖에 없다. 말 그대로 팝, 대중음악이다. 가장 좋아하는 K팝 뮤지션은 블랙핑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