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질병청 “2030년 말라리아 없는 한국…무증상 조기진단 체계 구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정부가 2030년까지 말라리아를 완전 퇴치를 선언했다. 한국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말라리아 우선 퇴치 대상 국가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5일 말라리아 환자 ‘제로(0)’ 달성을 위해 퇴치 단계로의 정책 전환을 중심으로 하는 ‘제2차 말라리아 재퇴치 실행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목표는 2030년까지 국내 말라리아의 완전 퇴치다. 이번 2차 재퇴치 계획은 ▶환자 감시·위험관리 강화 ▶매개 모기 감시·방제 강화 ▶협력과 소통체계 활성화 ▶말라리아 퇴치 기반 구축 등 4개 추진 전략으로 이뤄졌다.

질병청에 따르면, 말라리아 환자는 1970년 약 1만6000명이었다가 1979년 ‘퇴치’ 수준으로 줄었고, 이후 13년간 없었다. 그런데 1993년 경기 파주의 군부대에서 환자 1명이 발생하면서 상황이 달라졌고, 현재는 휴전선 접경지역에서 연간 500명 내외의 환자가 나온다. 지난해에는 2011년 이후 처음 환자 수 700명(국내 673명·해외 74명)을 넘어섰다.

이번 2차 재퇴치 계획에 따라 정부는 신속한 말라리아 환자 찾기부터 시작할 방침이다. 선제적으로 무증상 감염사례를 확인하고, 조기진단 및 치료를 통해 모기와 환자 간 전파 고리를 차단할 방침이다. 국내 환자는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되어 발생하는데, 원충이 간에 잠복하다 보니 모기에 물린 후 몇 달 또는 몇 년 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병청은 말라리아 유행 시기 보건소 등 1차 의료기관을 찾는 발열 환자를 대상으로 신속진단키트로 검사하고, 환자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공동노출자도 검사할 계획이다. 또 지역사회 전파 차단 및 추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추정 감염지역 및 감염경로 파악을 위한 심층 역학조사도 강화할 예정이다. 잠복기 환자의 감염을 진단할 수 있도록 혈액 검사법을 보완하는 한편, 매개 모기 감시를 위한 조사 지점을 50곳에서 85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김종헌 성균관대 교수(사회의학교실)는 “1차 계획에서 빠졌던 무증상 말라리아 관련 대책을 2차 계획에서 보완한 점은 큰 의미가 있다”며 “건강검진 혈액검사나 신속진단키트 등을 통해 말라리아 환자를 선제적으로 찾아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적극적으로 말라리아 검사를 받고 야외 활동 때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예방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말라리아 퇴치에 동참하는 것”이라며 “효과적인 계획 이행을 위해 자원을 집중 투자하고 관계 부처,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