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강혜란의 쇼미더컬처

고루한 것은 살아남지 못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강혜란 기자 중앙일보 문화선임기자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오래 됐다고 귀한 것은 아니지만, 귀한 것일수록 오래 멀리 전해진다. 지난 주말 호암미술관(경기도 용인)에서 든 생각이다. 2023년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후 재개관한 이곳에선 기획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6월16일까지)이 열리고 있다. 한국·중국·일본 3국의 불교미술에 담긴 여성들의 번뇌·염원·공헌을 본격 조망하는 전시다. 전세계 27개 컬렉션에서 모은 92건에는 일본으로 유출된 후 국내 첫 공개되는 높이 28㎝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 등 진귀한 걸작들이 많다.

호암미술관 전시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을 통해 일제 반출 이후 처음으로 국내 공개된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 [뉴스1]

호암미술관 전시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을 통해 일제 반출 이후 처음으로 국내 공개된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 [뉴스1]

수백년 된 유물들이건만 관람객 눈높이에 맞춘 디지털 서비스가 돋보인다. 1345년 조성한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1~7’(리움미술관 소장)의 경우 0.1㎜ 세필로 그려넣은 불심을 맨눈으로 감상하기 쉽지 않다. 이를 감안해 벽면 디지털보드에 작품 속 도상을 확대하고 설명을 곁들였다. 마찬가지로 국내 처음 선보이는 13세기 ‘수월보살관음도’(개인 소장) 역시 화불(化佛)·정병(精兵) 등 그림 속 요소들을 개별 확대하며 안내하고 있다. 덕분에 지금 시대와는 결이 달랐던 당대의 염원을 한 박자 쉬며 돌아볼 수 있었다.

박물관(미술관 포함)이란 데가 고루한 유물만 갖다놨으면 진작에 외면 받았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이 418만명으로 세계 6위를 기록한 것은 대중성을 고려한 기획 뿐 아니라 첨단 기술을 적절히 접목한 전시기법의 힘도 크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기획을 가져다가 전시한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이야기’(4월14일까지)는 애니메이션을 곁들인 유물 해설로 오히려 뉴욕에서보다 상세히 내용을 알 수 있다는 호평이 줄을 이었다. 정명희 전시과장은 “수천년 전 종교적 서사를 영상세대가 친숙히 이해할 수 있게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첨단 기술 덕에 유물을 만나는 방법도 다채로워지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는 ‘작은 금강, 칠보산을 거닐다’(5월26일까지)는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이 소장 중인 19세기 조선 병풍을 생생한 실감영상으로 즐길 수 있게 한다. 덕분에 북녘 땅에 있어 갈 수 없는 함북의 명산 칠보산, 미국 땅에 있어 직접 만날 수 없는 실경산수 유물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21세기 우리 국력이 가능하게 한, 시공간을 뛰어넘는 ‘디지털 연결’의 힘이다.

값지고 귀한 것을 만들어내는 건 시대의 역량이지만 이전 세대가 물려준 것에 부가가치를 보태는 것도 오늘날의 몫이다. 국내 서화류 보존처리 1인자로 꼽히는 박지선 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 대표는 자신이 하는 일이 “물려받은 것에 내가 알게 된 걸 쌓아서 같이 가는 것”이라고 했다. 덕분에 빛바랜 것이 원래 색을 찾고, 찢어지고 흩어진 게 제꼴을 갖춘다. 디지털과 영상의 힘이 거기에 새로움을 더한다. 고루한 것은 살아남지 못한다. 유물도 그러한데 사람과 정치는 오죽하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