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도 하고 문화·스포츠도 즐기고…낡은 창원산단 확 바꾼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8면

올해로 산단 지정 50주년을 맞은 경남 창원시 ‘창원국가산업단지’ 모습. [사진 경남도]

올해로 산단 지정 50주년을 맞은 경남 창원시 ‘창원국가산업단지’ 모습. [사진 경남도]

부산 영도(14.12㎢)의 2배가 넘는 면적인 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35.87㎢·창원산단)는 반세기 전만 해도 허허벌판에 자연부락이 있던 농촌이었다. 하지만 박정희 대통령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1974년 4월 ‘창원종합기계 공업기지 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조성되면서 ‘국내 기계산업 메카’로 바뀌었다. 본격 가동된 1975년 44개였던 입주 업체는 현재 2965개(지난해 기준)로 약 67배 늘었다. 자동차·원자력·방산·조선·우주항공·전기전자 분야 중심이었다. 같은 기간 생산액은 15억원에서 60조597억원으로 약 4만배 증가했다.

하지만 경제·산업 구조가 급변하면서 창원산단은 시설 노후화와 연구개발(R&D) 기능 약화라는 문제점도 나타났다. 최근에는 수도권 인구 집중 등 영향으로 창원산단 중소기업은 인력난까지 겪고 있다. 청년층 제조업 기피 현상도 한몫했다. 실제 경남 청년(만 19~39세) 근로자가 해마다 1만명 넘게 수도권으로 이탈했다.

경남도와 한국산업단지공단(산단공) 경남본부는 창원산단 지정 50주년을 맞아 올해부터 10년간 국비 등 3조8047억원을 들여 창원산단을 리모델링한다. 지난 1일 ‘창원산단 미래 50년 비전 브리핑’ 자리에서 박병규 산단공 경남본부장은 “(창원산단) 기업인들을 만났을 때 기술·연구 인력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꼽는다”며 “젊은 연구 인력이 근무하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도·산단공이 제시한 ‘창원산단 미래 50년 비전’의 핵심은 ‘문화’다. ‘청년이 원하는 문화·여가가 융합된 산단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산단 근로자가 문화·여가·스포츠 생활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크리에이티브 타운’을 조성한다. 지하 3층·지상 12층 규모로, 2027년 준공 예정이다. 기업과 협업해 산단 곳곳에 카페·독서 문화공간·어린이집 등 편의시설도 확충한다. 도·산단공은 기업부설연구소·창업보육센터 등 연구개발 역량도 한곳에 모은다. 2030년까지 ‘R&D 커넥트 허브(2개동·30층)’를 지어서다.

또 다른 비전 핵심은 ‘디지털 전환’이다. 도는 제조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 첨단기술형으로 산업 구조를 재편하겠다고 했다. 전자·조선·기계·자동차 등 업종별 앵커 기업을 중심으로 AI 자율제조 기술을 개발, 협력사로 확산하는 방식이다. 현재 창원산단 스마트 공장 도입 비율은 약 17%로 낮다. 특히, 도는 이처럼 기존의 낡은 생산·사무 공정을 디지털로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디지털 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경남 주력 산업이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와 다소 괴리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도는 2000여개 디지털 기업 유치가 목표로, 경남판 판교테크노밸리인 ‘경남 제조 디지털 혁신밸리’를 조성한다. ‘임대료 100원 사무실·기숙사’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준비 중이다.

도는 이런 4대 전략·40대 과제를 담은 ‘창원산단 미래 50년 비전’이 제대로 추진되면 4조4417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4861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창원산단이 전통적인 제조산업단지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청년이 찾는 디지털·문화산단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