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원전 강국'들의 유턴…스웨덴, 43년 만에 "10기 더 짓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스웨덴 남동부에 위치한 오스카르스함 원자력 발전소의 모습이다. AP

스웨덴 남동부에 위치한 오스카르스함 원자력 발전소의 모습이다. AP

탈원전에 앞장섰던 전 세계 주요국이 기존 입장에서 선회해 원전 확대에 뛰어들고 있다. 기후 연대 협약에 따라 ‘탄소중립(탄소 순 배출량 제로)’ 달성 압박이 심해지면서 탄소 배출이 없고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은 ‘원전’ 역할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수급 불안마저 커지자 탈원전을 선언했던 국가들이 다시 ‘유턴’하는 모양새다.

'탈원전' 기조에서 스웨덴 유턴·벨기에 보류

대표적으로 스웨덴은 43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1980년 국민투표에서 원전을 단계적으로 폐기하기로 결정한 후 탈원전에 앞장섰던 스웨덴 정부는 이달 초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향후 20년간 전력 수요가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를 위해 2045년까지 최소 10기의 재래식 원전과 소형 모듈식 원전이 다수 건설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스웨덴은 그간 탈원전 정책에 따라 12기의 원자로 중 6기를 폐쇄했고, 남은 6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원전들은 스웨덴 전체 전력 생산의 30%를 담당하고 있는데 약 40년인 원전 수명이 거의 임박해 현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실행 가능한 대체 에너지원 찾는 데 어려움을 겪던 중 지난해 10월 8년 만에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가 이끄는 연립 우파 정부가 들어서면서 원전 확대 쪽으로 노선을 돌렸다. 당초 ‘100% 재생에너지’였던 기후정책 목표도 지난해 ‘100% 탈화석 에너지’로 변경했다.

벨기에 정부도 원전을 향후 10년 더 가동하기로 했다. 2003년 탈원전을 선언해 2025년까지 모든 원전 가동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예정이었지만 러·우 전쟁 발발 이후 유럽 전역에서 에너지 위기가 발생하자 전면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내년 총통 선거 앞둔 대만, 탈원전 문제 부상  

아시아 국가 중에선 내년 1월 총통 선거를 앞둔 대만에서 탈원전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만은 2016년 5월 민주진보당 소속 차이잉원 총통이 취임한 이후 2025년까지 원자로 6기 모두를 폐기하는 ‘비핵가원(非核家園)’ 계획을 추진 중이지만 2018~2022년 사이 세 차례의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는 등 전력수급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대만 정부는 전력 생산량이 아닌 시스템 운용의 문제라고 강조하지만 대만 내부에선 탈원전으로 전력 예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진 탓에 발전소 사고 시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야당에선 원전을 재가동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원전 강국들도 앞다퉈 건설 나서 

원전 확대에 박차를 가하는 건 기존 원전 강국으로 꼽혔던 나라들도 마찬가지다.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지난달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비하고 2035년 예정된 탈탄소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30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주 정부는 4.8기가와트(GW) 규모의 신규 원자력발전소 설립을 추진 중이다. 한때 탈원전 기조를 보였던 프랑스도 입장을 바꿔 2035년까지 원전 6기를 더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고 영국은 2050년까지 최대 원전 8기를 더 짓겠다고 발표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요즘 전 세계 에너지 정책의 가장 큰 화두는 탄소 중립과 에너지 안보”라며 “인류가 가지고 있는 무탄소 에너지원은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두 개뿐인데 재생에너지는 지리적 여건의 영향을 크게 받고 돈이 많이 든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주권이 중요해지면서 원전이란 주요 에너지원을 당장 포기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