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 "韓 전문가 상주, 구체적 협의 중…방류 데이터 실시간 공개"

중앙일보

입력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후쿠시마 사무소에 한국인 전문가가 상주하는 방안에 대해 일본 정부가 18일 "현재 구체적인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도쿄전력은 "실제 방류가 시작되면 실시간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 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안에 보관돼있는 오염수 탱크. 연합뉴스.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안에 보관돼있는 오염수 탱크. 연합뉴스.

"IAEA 사무소 활동 시작"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이날 주한일본대사관이 내·외신을 상대로 주최한 '후쿠시마 해양 방출 관련 설명회'에서 "IAEA가 후쿠시마에 개소한 사무소에는 이미 IAEA 직원이 상주하고 활동 거점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며 "한국인 전문가 상주 문제도 쌍방에서 구체적인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모든 판단은 IAEA가 단독으로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를 만나 "방류 점검 과정에 한국 전문가가 참여하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현지 사무소에 상주할 제3국 전문가를 선정할 권한은 IAEA에 있지만, 일본 정부의 의견도 비중 있게 반영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지난 8일 방한 기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한국인이 (현지 사무소에) 오더라도 출신 국가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 기구인 IAEA 멤버로서의 중립성을 지켜야 한다"고 답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는 모습. 김종호 기자.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는 모습. 김종호 기자.

"방류 결정되면 개별 설명"

이르면 다음 달로 관측되는 방류 시작 시기에 대해 일본 정부 관계자는 "계획이 확정되면 한국 등 특별히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국가에 대해선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물을 방류하는 일은 절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양 방류'가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육상에 약 1000기의 탱크가 처리되지 않은 물을 보관하고 있고 리스크는 계속 축적되는 상황"이라며 "2024년이면 탱크가 가득 찰 것이고 이런 상태는 당연히 일본뿐 아니라 주변국에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 빌뉴스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 빌뉴스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대통령실.

한편 도쿄전력 관계자는 이날 설명회에서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 처리수 해양 방출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공개할 계획이고 IAEA도 비슷한 웹페이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전력의 자료에 따르면 실시간 공개 대상 데이터는 희석용 해수 취수구와 상류 수조 방사선 모니터, 알프스 이송 펌프 출구에서 실시한 방사선 모니터, 알프스 이송관 유량, 희석용 해수 유량, 해수 희석 후 삼중수소 농도 계산치 등이다.

도쿄전력이 18일 설명회에서 제시한 ALPS 처리수 해양 방출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에 대한 홈페이지 공개 계획. 도쿄전력 자료 캡처. 주한일본대사관.

도쿄전력이 18일 설명회에서 제시한 ALPS 처리수 해양 방출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에 대한 홈페이지 공개 계획. 도쿄전력 자료 캡처. 주한일본대사관.

"처리수 용어 보급돼야" 

한편 이날 설명회에서 일본 정부 관계자는 한국 정부의 공식 용어인 '오염수'(Contaminated Water)를 '처리수'(Treated Water) 로 시정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현재 IAEA와 일본을 비롯한 주요국은 '처리수'라는 용어를, 한국과 중국, 러시아, 북한 등은 '오염수'라는 용어를 쓴다.

이 관계자는 "한국에서도 '처리수'라는 용어가 사용돼야 (방류의) 정당성에 대한 이해도 넓어진다"며 "일본이 왜 오염수가 아니라 처리수라는 용어를 쓰는지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 문제"라고 언급해 용어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정부는 현재로선 공식적인 용어 변경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5월 한국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전문가 시찰단이 지난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현장 시찰을 하는 모습. 도쿄전력. 연합뉴스.

지난 5월 한국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전문가 시찰단이 지난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현장 시찰을 하는 모습. 도쿄전력. 연합뉴스.

'가짜 뉴스' 작심 비판도 

일본 정부 관계자는 또 후쿠시마 문제와 관련한 '가짜 뉴스'를 여러 차례 비판하면서 "근거 없는 소문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각국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일본도 객관적·과학적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설명회는 당초 공지한 것보다 두 배 이상 길어져 약 3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IAEA가 지난 4일 최종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방류 계획이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고 결론내고 이에 따라 실제 방류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이 한국민을 상대로 방류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줄이기 위한 본격적인 '오염수 공공외교'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주 일본 현지에서도 기자들을 상대로 후쿠시마 문제 관련 설명회가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일본은 최근 리투아니아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와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회의에서도 정상급과 외교장관급에서 후쿠시마 방류 관련 전방위 외교전을 펼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