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9년 만에 돌아온 천마도, 화려함의 극치 신라 금관…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시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4일 국립경주박물관에 들어서자, 신라 금관이 휘황찬란한 빛을 뿜어내고 있었다. 원형의 머리띠 정면에 3단으로 올려진 출(出)자 모양의 장식과 좌우의 사슴뿔 모양 장식이 우뚝 솟아있었고, 금실에 매달린 비취색 옥과 나뭇잎 장식은 조명을 받으며 한껏 화려함을 뽐냈다.

그 뒤로 성스러운 동물, 천마(天馬)가 모습을 드러냈다. 땅을 박차고 비상하는 듯한 역동적 모습의 천마는 1500년의 세월을 무색하게 할 만큼 영험한 자태로 돌아왔다.

신라시대의 유일한 회화 유물인 천마도를 볼 수 있는 특별전 '천마, 다시 만나다'가 4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시작됐다.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시대의 유일한 회화 유물인 천마도를 볼 수 있는 특별전 '천마, 다시 만나다'가 4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시작됐다.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이날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개막한 ‘천마, 다시 만나다’ 특별전에서는 50년 전 발굴 돼 지금까지 단 세 차례만 대중에 공개됐던 천마도(天馬圖) 실물을 만나 볼 수 있다. 천마도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997년과 2009년 개최한 특별전 때 공개됐고, 2014년 경주박물관에서 한 차례 더 공개된 뒤 지금까지 수장고에 보관돼왔다.

이번 전시의 백미는 단연 9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천마도다. 자작나무 껍질 위에 그려진 말 그림, 천마도는 50년 전인 1973년 정부와 학계 전문가들이 155호 고분을 발굴하던 중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천마총 발굴 조사는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이 독점했던 신라 고분 조사에서 벗어나 우리 손으로 당시 역량을 총동원해 이루어낸 기념비적인 발굴”이라며 “이후 한국 고고학의 근간이 된 성공적인 발굴 사례”라고 설명했다.

신라시대의 유일한 회화 유물인 장니 천마도(국보). 자작나무 위에 그려졌다.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시대의 유일한 회화 유물인 장니 천마도(국보). 자작나무 위에 그려졌다.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이날 특별전에는 당시 조사에 참여한 윤근일 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이 참석했다. 그는 “지금은 천마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당시에는 황남동 155호 고분이었다”며 “98호를 조사하기엔 여러 면에서 부족해 155호를 먼저 발굴하기로 했는데 금관 장식들이 나올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 했다”고 했다.

대형 고분을 발굴하기 전 연습 삼아 발굴한 소형 고분에서 그야말로 ‘대박’이 터졌다는 것이다. 155호 고분이 천마총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도 그 안에서 신라 시대의 유일한 회화 유물인 천마도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없을 때는 출토된 유물의 이름을 따라 쓰고 뒤에 ‘총’자를 붙인다.

1973년 '천마도'가 발굴됐을 당시의 현장 사진. 사진 문화재청

1973년 '천마도'가 발굴됐을 당시의 현장 사진. 사진 문화재청

이번 전시에서는 네 마리의 천마를 볼 수 있다. 그중 가장 상태가 좋은 것은 자작나무 껍질 위에 그려진 천마다. 자작나무로 된 말다래(말을 탄 사람에게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판자)에 그려진 버전인데, 양발 밑에 말다래를 깔기 때문에 천마도도 두 점이 한 쌍이다. 천마총에서는 자작나무 외에도 금동판으로 된 또 다른 천마 말다래가 나왔다. 그 외에 금령총, 금관총에서 발견된 천마 말다래도 함께 공개돼 총 4가지 다른 버전의 천마를 볼 수 있다.

함순섭 국립경주박물관장은 “한 전시에 네 종류의 천마가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마립간 시기에 천마 관련 물품이 보편적으로 사용됐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155호 고분에서는 천마도 외에도 신라의 금속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화려한 유물이 대량 출토됐다. 금제 대관을 비롯한 금으로 만든 모관, 허리띠, 관 꾸미개, 귀걸이, 허리띠 등 지도층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신구 등이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국보 천마총 금제 허리띠를 비롯해 무덤 주인의 왼쪽 허리춤에서 출토된 봉황 장식 고리자루큰칼, 팔찌, 반지, 귀걸이 등이 관람객을 맞는다. 전부 천마총 출토품이다.

정효은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이번 전시는 천마총 출토품 중에서도 명품으로 꼽을 만한 유물을 엄선해 기획했다”며 “마립간 시기(356∼514)는 황금 장신구의 전성기였는데, 천마총은 그 끝자락에 해당해 금속 공예의 정수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전시는 7월 16일까지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자작나무 천마도 두 점 중 비교적 상태가 좋은 한 점은 6월 11일까지, 손상이 심한 한 점은 6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전시된다.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된 천마총 금관 등 신라시대 유물들.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된 천마총 금관 등 신라시대 유물들.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