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웰컴 투 코리아”…중기부, 해외 창업자·자본 유치 나선 까닭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서울 중구에서 연 ‘2022 K-스타트업 그랜드챌린지’ 데모데이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기부는 입상자에게 창업시 지원을 확대한다. [사진 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서울 중구에서 연 ‘2022 K-스타트업 그랜드챌린지’ 데모데이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기부는 입상자에게 창업시 지원을 확대한다. [사진 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 전략이 확장된다.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업무는 물론 해외 우수 인력과 자본 유치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기로 하면서다. 글로벌 창업자들과 자본을 국내로 끌어들여 한국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기폭제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은 지난 10일 여의도에서 올해 창업벤처와 관련된 주요 정책을 설명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박용순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올해 상반기 가장 중요한 게 ‘인바운드(해외 스타트업·자본의 국내 진출) 규제’ 검토”라고 말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난해엔 국내 스타트업과 글로벌 기업 간 협업이나 글로벌 펀드 확대에 초점을 뒀다면, 올해는 국내 생태계의 글로벌화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내부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해외 스타트업이나 벤처 자본이 늘어나면, 국내 창업 생태계가 글로벌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 스타트업이 국내에만 머물러도 다양한 국적의 창업자·투자자와 인맥을 쌓을 수 있고, 외국인 인재 유치도 더 수월해질 수 있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인바운드 정책이 강화되면 미국의 실리콘밸리 등에서 활동했던 창업자가 발전된 스타트업·벤처 문화를 국내에 유입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인바운드 창업이 활성화되면 한국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중기부 관계자는 “해외 창업자의 한국 유입이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실제 한국에서 창업하려는 외국인들이 적지 않다. 지난해 중기부의 외국인 대상 창업경진대회인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에는 대륙별로 아시아(1619팀), 아프리카(458팀), 유럽(253팀), 아메리카(234팀) 등 총 122개국 2653팀이 지원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한국을 중국,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 진출의 교두보로 삼거나, 국내의 스타트업 지원정책을 받기 위해 한국서 창업하고 싶어하는 수요가 많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바운드 전략’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외국인 창업자에 대한 비자 발급 절차를 개선할 예정이다. 보통 외국인이 국내에서 스타트업을 창업하려면 ‘D-8-4(기술창업) 비자’를 발급받는다. 그러나 당국이 자격조건과 학력을 필요 이상으로 보수적으로 보는 등 외국인 창업자 사이에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잦았다고 한다. 외국인 창업자들이 기술창업비자를 1년 단위로 갱신해야 하는 점도 좋은 여건은 아니다. 법무부는 중기부와 협의를 통해 이를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외국인 창업자 대상 혜택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창업 경진대회인 ‘도전 K-스타트업’에 외국인 유학생 전형을 넣고, 입상자에게는 창업 시 지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창업 후 국내 정착을 돕기 위한 멘토링, 업계 네트워킹 지원, 스타트업 보육 지원 등 세부 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벤처 자본이 국내 스타트업에 더 빠르고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도 개선될 전망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해외 VC의 국내 스타트업 투자 시 외국환신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여러 방안을 놓고 금융 당국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