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 팍팍해진 살림살이…엥겔 계수 21년 만에 최고치

중앙일보

입력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

식료품, 음료 지출 비용이 가계의 소비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엥겔 계수'가 2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거비 부담을 나타내는 '슈바베 계수'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일 공개한 '2021년 국민계정으로 살펴본 가계소비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엥겔계수는 12.86%로 지난 2020년(12.85%)보다 0.01%포인트 상승했다. 21년 전인 2000년(13.2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제학계에선 일반적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의식주 등 기본적인 생존과 관련된 지출 비중은 줄고, 문화·레저·교육 등에 관련된 소비 비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기본적인 생계 유지를 위한 소비 지출 비중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식료품 물가가 상승한 것도 엥겔계수 급등에 영향을 줬다고 봤다. 수입 물가 품목 가운데 농림수산품 수입 물가 상승률은 2020년 0.6%에서 지난해 13.5%로 높아졌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소비지출 중 임대료와 수도 광열 지출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슈바베 계수'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슈바베 계수는 17.94%로 지난 2020년(18.56%)에 비해 소폭 하락했지만, 2020년을 제외하면 최근 5년 새 가장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주택 매매 가격과 전·월세 비용 상승이 원인이라고 짚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며 가계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수 소비 비중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소비지출 증가율(6.5%)은 소득 증가율(6.8%)을 밑돌았다. 코로나 이전에는 통상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연구원은 가계 소비 심리 개선을 위해 방역 상황이 일정 정도 개선되면 '위드 코로나'보다 더 완화된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물가 급등 품목에 대한 시장 수급 상황을 개선하고, 주택 공급을 늘려 주거비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