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닷속 50m에 사람이 산다…'467억 해저도시' 꿈꾸는 울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울산시 해저도시 구상안. [사진 울산시]

울산시 해저도시 구상안. [사진 울산시]

바닷속에 해저 도시를 건설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관광지가 될 수 있고,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거대 공간으로도 쓸 수 있다. 혹은 학자들이 체류하며 연구도 할 수 있다. 이런 영화 같은 해저 공간이 울산 앞바다에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가 해저도시 개발에 첫발을 떼면서다.

울산시는 17일 해저공간 건설을 위해 관계 기관·대학·단체 5곳과 함께 2022년 해양수산부 사업 공모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기술적으로 ‘수심 50m, 5명 체류’, 실증적으로 ‘수심 30m, 3명 체류’를 목표로 한다. 2022년부터 2026년까지 기술개발이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467억원이 투입된다.

울산시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1단계로 계획 중인 바닷속 해저도시의 규모는 1562㎥다. 연구원 5명이 수심 50m 해저도시에서 28일간 체류하며 연구·관측 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1단계 기술개발이 끝나고 나면 2단계(2027~2031년)로 수심 200m 아래, 1만1720㎥ 면적에 5~30명이 77일간 체류할 수 있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해저도시를 건설하려면 지반이 암반이어야 한다. 엄청난 수압과 지진·해일 등을 견딜 고강도 신소재와 구조물 고정 기술 등이 필요하다. 울산 연안은 재해, 지반, 수질 안전성 등 해저공간 시험장 실증을 위한 입지 조건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조선해양플랜트 중심도시로서 해양 신기술 개발과 상호 협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바닷속에서 해저도시를 건설하는 건 로봇이다. 육상에서 만든 구조물 모듈을 해저로 가져가 조립하는 식이다.

기술개발이 성공하면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고 활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해양 레저·관광, 정보기술(IT) 기업 데이터센터, 조선플랜트 기술고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우주기술과 같이 해저도시 건설 기술은 소재, 생명 유지, 의료 등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 연구 초기부터 건설·중공업,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기업 등 민간이 참여해 빠른 사업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을 위해 울산시는 지난 16일 시청 상황실에서 울주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대학교, 서생면 어촌계장협의회, 울주군 어선어업협의회 등과 ‘해저공간 창출·활용 기술개발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16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해저공간 창출·활용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식'. [사진울산시]

지난 16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해저공간 창출·활용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식'. [사진울산시]

협약에 따라 6개 기관·대학·단체는 ▶해저공간 설계와 시공 원천기술 개발 ▶해저공간 운영과 유지·관리 원천기술 개발 ▶해저공간 구조 시험장(테스트베드) 설치·실증 ▶관련 연구 인프라 공동 활용과 인적 교류 ▶해저공간 창출·활용 개발기술의 실용화와 시험장 지역 산업 연계활용 등 분야에서 협력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 사업에 참여 의향을 보인 기업과 기관 등 28곳도 동참해 민관학연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어업인 단체도 유치를 희망하고 있어 원활한 사업 추진이 기대된다”며 “친환경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창출하고 어촌 공간이 새로운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