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포스트 차이나’라는 인도서 韓 수출은 2018년 이후 역성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으로 인도가 ‘포스트 차이나(Post China)’로 떠오르고 있으나 한국의 수출과 시장 점유율이 부진해 현 정체 국면을 타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6년 이후 한국의 대 인도 수출과 인도 수입 시장 내 한국 점유율을 분석해 ‘대 인도 비즈니스 부진 원인과 과제’ 보고서를 10일 내놓았다.

2016년 이후 대 인도 수출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2016년 이후 대 인도 수출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인도에 대한 한국의 수출은 2018년 이후 감소세다. 올해 1~9월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한국의 20대 수출 대상국에 대한 올해 1~9월 전체 수출은 2019년 동기 대비 16.5% 증가했지만, 한국의 7위 수출 대상국인 대 인도 수출은 3.5% 줄었다.

이는 인도의 2차 코로나 대유행과 지역 봉쇄에 따른 경기 회복 지연과 함께, 화학·철강·플라스틱 등 한국의 대 인도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한 인도의 지속적 수입 규제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기준 인도의 대 한국 수입 규제는 총 34건으로 한국에 대한 전세계 수입 규제 중 인도 비중은 약 15%에 달한다. 인도는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등 무역구제제도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국가로 꼽힌다.

[자료 전경련]

[자료 전경련]

미·중 패권 전쟁 표면화, 인도·중국간 국경 분쟁 이후 중국의 인도 수입 시장 점유율은 2016년 17.0%에서 금년 1~5월 14.8%로 2.2%p 줄었다. 그러나 한국은 중국·인도간 경제 갈등의 반사이익도 얻지 못하고 있다.

인도 수입시장 점유율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인도 수입시장 점유율 추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인도 모디 정부는 2030년까지 중국에 버금가는 세계의 공장을 만들려고 해 만성적 무역 적자를 완화하기 위해 앞으로도 규제적 방향을 띨 것”이라며 “통상 당국은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개정 협상을 조속히 타결하고 엄격한 원산지 결정 기준 완화, 인도의 대 한국 수입 규제 완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현 정체 국면을 타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