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님들 인력난 아시나요”/민병관 경제부기자(취재일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회에서 여야가 싸움질을 벌이는 동안 중소기업들은 기계 한대라도 더 돌려보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일할 사람이 없어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자 종업원을 한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기업마다 이리 뛰고 저리 뛰며 땀을 쏟고 있는 동안 선거때마다 중소기업 지원을 약속해 왔던 국회의원들은 냉방이 잘된 의사당에서 정쟁만 계속하고 있다.
국회가 한달동안이나 열렸지만 민생같은 「시시한」문제들은 모두 들러리에 불과했다.
업계는 요즘엔 「울다 지친 아이」처럼 「선량들」에게 별다른 기대도 하지 않는다.
기업이 겪고 있는 인력난대책을 기회있을 때마다 호소했지만 그때마다 시원한 대답을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기업의 인력부족이 꼭 정책부재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기업 스스로가 인력양성을 소홀히 해온 점도 있고 『땀흘려 일하기 싫다』는 세태때문이기도 하다.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제조업체보다는 서비스업체에 사람이 몰리는 것은 그렇다고 치자.
그러나 이같은 현상이 빚어지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눈여겨 보아야 한다.
최근 인력난문제를 다루는 연구기관들은 제조업체의 인력수요보다 교육기관 등의 배출인력이 크게 모자라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잇따라 발표했다.
고교의 경우 인문계와 실업계,대학은 문과와 이과의 정원비율이 현실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제조업체에서 필요한 인력은 기술직,특히 작업현장에서의 기능인력인데 교육과정은 이를 맞출 수 없게 돼 있다.
또 제조업을 비롯한 각 산업현장의 근로자들에게 일할 의욕도 제대로 심어주지 못했다.
산업인력이 부족하다는 얘기를 못들었을리 없는데 이를 해소키위한 방안을 정치권이 논의ㆍ제시했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인력수급에 대한 판단을 잘못했거나 실기를 해 필요한 인력을 제때에 공급해주지 못한다면 이는 마땅히 정책당국과 이를 제대로 짚고 따지지 않은 정치권이 책임져야 할 일이다.
필요한 기술을 갖춘 사람을 길러내고 적재적소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일이야말로 지도자를 자처하는 사람들이 고민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선량들도 중소기업이 맞고 있는 인력난현장에서 그 대책을 찾기 위해 땀을 흘려보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