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저 색깔 대물림한 90년대생…"헬조선 할때가 헤븐이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임명묵 작가 [사진 사이드웨이]

임명묵 작가 [사진 사이드웨이]

'90년대생은 대한민국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신간 『K를 생각한다』의 부제다. 1994년생 서울대 재학생인 저자 임명묵씨가 90년대생, 586, 교육, 코로나 방역 등에 대해 풀어놓는 주장을 담았다. 90년대생이 직접 화자로 나섰다는 점에서  『90년대생이 온다』  등 기존의 90년대생에 주목한 책들과는 다르다.

『K-를 생각한다』저자 임명묵 인터뷰 #"미래 희망 꿈꾸던 X세대와는 달라"

그는 '90년대생'을 개인주의라거나 'X세대'의 아류라고 보는 데 대해 '아니오'라고 답한다. 온라인에서 드러나는 '멍석말이' 등 집단적 행위를 감안하면 개인주의라고만 보기도 어렵고, 모바일과 SNS·양극화 등 X세대와는 다른 배경에서 자랐다는 것이다. 또한 '이대남' 현상이 보여주듯 정치·사회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도 탈정치를 표방한 X세대와는 다르다. 20일 임씨를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K를 생각한다'

'K를 생각한다'

-90년대생과 90년대 나타난 'X세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90년대생에 대한 담론을 보면 X세대와 다르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중요한 메시지를 놓친 결과다. 일단 인격적으로 완성되기 전인 10대부터 스마트폰과 SNS이라는 '무기'가 주어지면서 사회에 접속했다. 24시간 실시간으로 남과 비교하며 인정욕구와 과시욕구는 커지는데 자신을 둘러싼 현실은 그렇지 못하니 거기서부터 스트레스와 분노가 증폭된다. 그것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투쟁'을 잠재하게 하였다.

-X세대는 10~20대에 미래를 희망적으로 봤다. 90년대생은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었나?
=2012년에 고등학생이었는데 이미 그때부터 미래에 대한 낙관론은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90년대생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계급을 대물림하게 된 세대다. X세대 때는 소수의 부자를 제외하면 대체로 배경이 균질화된 부모를 둔 사회였다. 그런데 586이 기성세대가 되면서 학력·주택 등 사회적 격차가 급속도로 벌어졌다. 그렇게 따라잡을 수 없는 격차를 유년시절부터 체감한 세대가 90년대생이다. '흙수저' '헬조선' 같은 담론이 나오는 이유다. 그런데 얼마 전 지인과 만나 이야기하다가 '실은 2012년 '헬조선' 이야기를 할 때가 '헤븐'이었다'고 맞장구를 쳤다. 그만큼 더 악화했다는 것이다.

-586에 대해서 '내로남불'로 규정지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무조건 '꿀빤 세대'라고 깎아내리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거대한 인구집단이면서 대학 때 학생운동에 직간접 관여하면서 얻은 서사와 개념을 정서적으로 내면화한 세대다. 세월이 바뀌었는데도 여전히 당시 주입한 '반미-반제'의 세계관에서 업데이트되지 않았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는 데는 열심이다. 그러니 미국에 대한 반감을 가지면서도 자기 자식들은 미국에 유학 보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산업화 세대의 부의 축적을 비판했지만, 자신들이 비판받으면 '우리만 그런 게 아니다'라는 식으로 회피한다.

-K방역에 대해서도 후한 점수를 주지 않았다.
=사실 K방역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병영국가처럼 전시동원체제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국민의 동선을 추적하고, 특정 지역을 고립하고, 의료진을 투입해 열악한 상황에서도 일하게 만들었다. 그게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기본권을 억압하고 빠른 속도로 공공의 이해관계를 회복하는 것은 필요한 행정이었을지는 몰라도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 그것을 'K민주주의의 승리'라는 식으로 홍보하는 것이 모순됐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K방역'이라는 딱지는 우리 안의 민족주의를 발현시키면서 자긍심을 얻고자 한 것일 텐데, 결국 백신 구매를 늦춘 것도 어떻게든 자국산 치료제로 대응하려다가 벌어진 사고라고 본다.

-20대는 문재인 대통령을 강력하게 지지했지만, 지금은 거대한 반대 세력이 됐다.
=요즘 20대 남성들에게 문재인 대통령을 일본 만화 '진격의 거인'에 등장하는 거인과 비교하는 밈이 있을 정도로 부정적 정서가 팽배하다.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높았던 것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실망이 매우 컸고 그래서 민주당이 대안을 제시할 거라고 봤다. 그런데 나아진 것은 없고 특히 남성의 경우엔 되려 무시당한다는 감정이 누적되면서 정권에 대한 지지 이탈이 가속화됐다.

-20대 남성으로서 요즘 이준석-진중권의 '페미 논쟁'은 어떻게 보는가.
=중요하다고 보는데 그것이 논쟁이 함의하는 의미의 전부는 아니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의 이야기에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그간 소외되었다고 여겨온 20대 남성들이 크게 화답하고 있다. 지금 한국 사회에서 남녀평등이라는 것은 여성에 대한 시혜적 시각이 강하다. 오히려 기성세대 남성들이 가진 마초이즘의 뒤틀린 시각이다. 현재 20대 남성은 오히려 마초성을 탈각했다. 그런 상황에서 50대 남성이 20대 남성에게 양성평등을 가르치려 하고, 여성에게 주어지는 가산점 등에 반발하면 '남자가 찌질하게 왜 그래'라는 식으로 핀잔주고 '반페미'라고 공격하니 뭔가 잘못됐다는 생각이 든다. 이 문제는 20~30대 남녀가 토론하고 충돌해야 그 안에서 뭔가 합의점이 나오고 일종의 신사협정이 가능하다고 본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