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국민의 기업] 탄소 중립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환경과 기후변화 대응 지원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GGGI) 사무차장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GGGI) 사무차장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는 중에도 2021년은 어느 해보다 기후 관련 다자간 정상회의가 풍성하다. 1월 25일 네덜란드 주최로 기후변화 적응 정상회의가 열렸고, 4월 22일 ‘지구의 날’에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기후 정상회의를 주최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30~31일 개최되는 P4G 서울 정상회의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의지를 결집하고, 기후위기 극복과 녹색미래 실현을 위한 정부·기업·시민사회 모두의 기여 방안을 논의하는 ‘지구를 위한 장’이 될 전망이다.

기고

지난해부터 떠오른 국제사회의 화두는 2050년 탄소중립 선언이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캐나다 등 여러 국가가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를 선언했고, 중국도 2060년 탄소중립을 발표했다. 유럽연합은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기후변화, 인간·질병 간의 연결고리가 더 명확해지고,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확보하기 위해선 행동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국제적 공감대가 퍼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위축된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이 위기를 저탄소 성장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의 기회로 활용하자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새로운 기술 개발에 인재와 자본이 몰리고, 점점 더 많은 글로벌 투자사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투자의사 결정의 중요 기준으로 삼으면서, 이제 저탄소는 국제사회의 새로운 규범이 되고 있다.

우리는 금세기 말까지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 폭을 1.5도 이하로 억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흡수량이 같아 순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중립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 탄소중립을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활용하는 데는 많은 난관이 있다. 한국은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높고 온실가스 다(多)배출 업종인 철강·석유화학·정유·반도체 등을 포함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저탄소 전환을 위한 기술적 대응이 매우 도전적인 과제일 수밖에 없다. 불과 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탄소중립을 실현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그러나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한국 정부는 그린뉴딜 정책을 통해 2025년까지 73조원에 이르는 재원을 에너지 전환, 저탄소 인프라 구축, 녹색산업 생태계 지원 등에 투입해 65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많은 개발도상국도 탄소배출 저감을 추진 중이므로 그린뉴딜의 성공 사례들을 만든다면, 한국기업과 기술이 개도국에 더 많이 진출하는 기회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중 환경과 기후변화 대응에 지원하는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 한국에 본부를 둔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들의 전문성과 네트워크, 공적개발원조(ODA) 및 민간재원 투자를 결합해 한국 기업들이 개도국의 저탄소 개발을 선도하도록 유도하는 종합적인 파트너십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 K-팝, K-무비, K-방역에 이어 이제는 K-그린의 시대가 가능하다.

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2021년은 이 선언을 현실화할 토대를 마련하는 시기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구체적인 이행 방안의 설계, 기업들의 동참, 그리고 국민의 지지다. 탄소 중립은 더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과 번영의 문제다.

기고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GGGI) 사무차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