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캠벨 “쿼드 확대 계획 없다”…정상회담 앞둔 한국 배려? 쿼드 몸값 높이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커트 캠벨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 시점에서 쿼드(Quad, 미국·일본·호주·인도의 외교협력체)를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쿼드, 백신·반도체 등 영향력 넓혀 #일종의 ‘기득권 그룹’ 움직임 보여

캠벨 조정관은 이날 “쿼드는 민주주의가 각국 국민과 더 넓은 세계를 위해 무엇을 함께 내놓을 수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설립됐다”며 “(쿼드가 4자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를 확대한다면) 이름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아시아 정책을 총괄해 ‘아시아 차르’로도 불린다.

21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백악관 고위 인사가 직접 이번 회담에서 쿼드 문제를 부각하지 않겠다고 확인한 셈이다. 하지만 미국이 한국에 쿼드 참여를 노골적으로 압박하는 대신 백신·반도체 등 글로벌 현안에서 쿼드가 논의를 주도하는 모습을 보여 오히려 한국이 협력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쿼드는 3월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 당시 군사·안보 협의체의 성격을 지우고 백신·신기술·기후변화 등 3개 분야의 워킹그룹을 출범하는 방식으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중국 견제라는 속내는 감추고 주요 이슈에 대해 리더십을 갖는 일종의 ‘기득권 그룹’처럼 쿼드를 꾸려가려는 미국의 의도가 엿보인다. 여기에 ‘기존의 쿼드만으로도 충분하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관련기사

신범철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기존 가입국도 쿼드 확대에 대해선 이견이 있을 수 있다”며 “일본으로서는 한국이 쿼드의 정식 멤버가 아닌 옵서버(observer) 자격으로 참여한다면 막을 이유가 없겠지만 한·일이 동등한 지위로 쿼드에 가입하는 건 경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그간 “미국으로부터 쿼드 참여를 공식적으로 요청받은 바가 없다”는 입장을 반복해 왔다. 그러면서도 백신·반도체 등 전략물자의 국제 수급 구조가 쿼드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을 보이자 이달 들어 신기술·코로나19·기후변화 등 분야에서 쿼드와의 부분 협력 가능성을 내비쳤다.

미국 역시 반도체와 배터리 등 신기술 분야에선 한국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한국이 쿼드를 활용해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협력 가능한 사안을 선제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