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 정상, 백신동맹 선언 예상…미국 “백신 지원국 미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19일 출국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오후 서울공항에서 전용기로 향하며 환송 나온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19일 출국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오후 서울공항에서 전용기로 향하며 환송 나온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19일 출국했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외교’ 성과를 최우선시하고 있어 정상회담 결과물인 공동성명엔 인도·태평양 지역 차원에서 양국이 백신 생산·공급과 관련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여론은 문 대통령이 미국으로부터 어느 정도 물량의 백신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주목한다. 하지만 외교가에선 이런 구체적인 내용이 공동성명에 들어가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다. 백신은 기본적으로 민간 영역인 데다 통상적인 ‘공동성명의 언어’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캠벨 “다자틀 통한 백신 증산 논의” #구체적 지원 물량은 언급 안할 듯 #글로벌 백신 공급망 파트너십 땐 #한국 ‘생산 허브’ 구상 현실화 가능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백신을 주고 한국이 받는 형식은 사실 협력이 아니다”며 “정상 간 협의의 결과물엔 그보다 큰 틀, 보다 넓은 범위와 다자적 측면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양자가 협력한다는 전제를 중심으로 문안이 도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양자 간 주고받기를 넘어 인도·태평양 역내 및 글로벌 차원에서 한·미가 백신 선도국으로서 함께할 수 있는 역할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에 대한 백신 지원이 이뤄지는 방식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커트 캠벨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은 지난 18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백신 스와프’가 가능하냐는 질문에 “양 정상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을 미국이 지원할 방안들을 논의할 것”이라며 “백신 생산 확대, 다자틀을 통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을 아시아의 백신 공급 허브로 만드는 데 대한 생각을 묻자 “우리는 전 세계에서 백신 제조와 배포를 늘릴 수 있도록 광범위한 선택지를 모색하고 있다”며 “미국과 한국 모두 주요한 백신 제조국으로, 글로벌 공급 강화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한국과의 백신 협력에 긍정적 입장을 보이면서도 다자틀과 글로벌 공급 등을 원칙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는 미국이 한국에 대한 일방적인 백신 공급이 아니라 중·러의 공격적인 백신 외교전에 대한 대응까지 고려한 글로벌 백신 공급망 구축 차원에서 한·미 동맹의 역할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바이든의 입장은 앞서 열린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 정상회의와 미·일 정상회담 결과물에서도 드러났다. 지난 3월 쿼드 정상회의에서 나온 공동성명 ‘쿼드의 정신’에는 “우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생산을 위해 힘을 합치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공정한 백신 접근권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 뒤 나온 ‘미·일 간 새로운 경쟁력과 회복력 파트너십 설명서’(팩트시트)엔 “미·일은 인도·태평양의 코로나19 회복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며 “장기적 글로벌 보건 안보를 구축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확대할 것”이라고 규정했다.

마찬가지로 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인도·태평양 지역의 백신 접종률 향상과 안전한 백신 보급 등을 위해 협력한다는 전제 아래 양국의 백신 생산 능력을 결합해 효과를 높이자고 합의하면 한국의 백신 생산 허브 구상도 현실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그래서 나온다.

한편 19일 미 국무부의 게일 스미스 글로벌 코로나19 대응 및 보건 안보 조정관이 참석한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풀겠다고 밝혔던 백신 8000만 회분과 관련해 “어느 나라가 받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스미스 조정관은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상당량을 코백스(COVAX) 프로그램을 통해 가난한 나라에 지원할 것”이라고 답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