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학교 선제 검사서 1740명 중 1명 확진, 검사 확대될까?

중앙일보

입력

방역 당국이 서울 지역에서 이동형 유전자 증폭(PCR) 선제 검사를 시행한 지 일주일 만에 첫 확진자가 나왔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송파구의 서울체육중·고등학교에서 이동형 PCR 검사팀이 검체를 채취하는 모습. 제공 교육부

방역 당국이 서울 지역에서 이동형 유전자 증폭(PCR) 선제 검사를 시행한 지 일주일 만에 첫 확진자가 나왔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송파구의 서울체육중·고등학교에서 이동형 PCR 검사팀이 검체를 채취하는 모습. 제공 교육부

방역 당국이 서울 지역 학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동형 유전자 증폭(PCR) 선제 검사를 시행한 지 일주일 만에 첫 확진자가 나왔다. 지역사회 숨은 감염자를 선제적으로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는 의견과 검사자 대비 확진률이 낮아 비용 대비 효과가 적다는 지적이 엇갈린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 노원구 A초등학교와 금천구 B초등학교에서 지난 10일 진행한 이동 PCR 선제검사 결과, A 초교에서 학생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안 무증상 감염자를 파악해 코로나19 확산을 미리 막기 위해 지난 3일부터 이동형 PCR 검사를 시범 실시하고 있다. 지난달 오세훈 서울시장이 학교에 자가검사키트를 도입하자고 제안한 후 부정적 입장이던 교육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방법이다. 이동형 PCR 검사는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등 의료진 3인 1조로 이뤄진 검사팀이 학교를 방문해 검사를 원하는 모든 학생과 교직원의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이다.

A초교의 전체 인원은 전교생 322명, 전체 교직원 55명 총 377명으로 전체 인원 가운데 58.1%인 219명(학생 173명과 교직원 46명)이 검사를 받았다. 10일 낮에 검사를 받은 이들은 같은 날 오후 10시쯤 검사 결과를 통보받았다. A초교는 확진자가 확인되자 11일부터 등교 수업을 중단하고 원격수업으로 전환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해당 학생이 사전에 코로나19 증상이 있었는지 아닌지 등을 역학조사하고 있다.

B초교의 경우 학생 48명과 교직원 111명 총 159명이 검사를 받았다. 이 학교의 총인원은 532명(전교생 412명, 교직원 120명)으로 검사 참여율은 29.9%를 기록했다. 11일 오전 9시 기준 서울 지역 6개 초·중·고교에서 학생 1398명, 교직원 342명 등 누적 1740명을 검사한 결과 확진자는 A초교 학생 1명이었다. 나머지는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방역 당국이 서울 지역에서 이동형 유전자 증폭(PCR) 선제 검사를 시행한 지 일주일 만에 첫 확진자가 나왔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송파구의 서울체육중·고등학교에서 이동형 PCR 검사팀이 검체를 채취하는 모습. 제공 교육부

방역 당국이 서울 지역에서 이동형 유전자 증폭(PCR) 선제 검사를 시행한 지 일주일 만에 첫 확진자가 나왔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송파구의 서울체육중·고등학교에서 이동형 PCR 검사팀이 검체를 채취하는 모습. 제공 교육부

방대본은 시범 운영 결과에 따라 시·도 교육청 수요조사 및 거리두기 단계, 확진자 발생 현황 등을 고려해 교육부와 협의한 후 현재 2개인 검사팀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재훈 가천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유행 상황이 계속 이어져 학교에서도 코로나19 유행이 예상되는 만큼 이동 PCR 검사 등 선제 검사를 늘리면 등교 정상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정확도가 높은 PCR 검사 결과 1740명 대상자 가운데 1명만 양성이 나왔는데 만약 자가검사키트 등을 도입하면 위양성과 위음성 가능성이 커져 사회적 혼란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학교와 사회를 정상화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이러한 검사에 필요한 의료진의 노력이나 검사 비용 등 사회적 비용보다 크다면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재욱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의료인으로 구성한 검사팀 운영은 의료진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실제 검사를 몇 명해서 확진자를 몇 명을 찾았는지, 비용과 예방 효과는 어떤지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 확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며 “자가검사키트는 아직 많이 활용하고 있지 않아 데이터가 적은데 이동형 PCR 검사와 서로 비용이나 예방 효과 등을 비교해 보다 적합한 방역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