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로 국민 '우울감' 2배 됐다…2030은 10명중 3명 위험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하며 국민의 우울감 지표가 이전보다 2배 악화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30 세대의 우울감이 높아 이 연령대의 10명 가운데 3명은 ‘우울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하며 국민의 우울감 지표가 이전보다 2배 악화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30 세대의 우울감이 높아 이 연령대의 10명 가운데 3명은 ‘우울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하며 국민의 우울감 지표가 이전보다 2배 악화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30 세대의 우울감이 높아 이 연령대의 10명 가운데 3명은 ‘우울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6일 올해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사 결과 우울함이나 극단적 선택 생각 등의 지표가 증가해 정신건강 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했다. 정부는 국민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해 국민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심리지원 대책의 하나로 지난해부터 분기별로 이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29일부터 지난달 12일까지 전국에 사는 19~71세 성인 21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우울 평균점수는 5.7점(총점 27점)으로, 2018년 실시된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인 2.3점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우울 위험군(총점 27점 중 10점 이상) 비율은 22.8%로, 지난해 조사  이후 지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8년(지역사회건강조사) 3.8%와 비교하면 약 6배 증가했다.

특히 20대와 30대는 우울 평균 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았다. 30대는 지난해 첫 조사부터 꾸준히 높았고, 20대는 조사 초기에는 가장 낮았으나  급격하게 증가해 최근 조사에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대, 30대 우울 위험군 비율은 각각 30.0%, 30.5%로, 60대(14.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우울 평균 점수는 2030의 경우 6.7점으로 가장 높았고 40대 5.5점, 50대 5.2점, 60대 4.3점 순으로 낮아졌다.

연령대별 우울 점수 평균(오른쪽)과 우울 위험군 비율. 제공 보건복지부

연령대별 우울 점수 평균(오른쪽)과 우울 위험군 비율. 제공 보건복지부

성별로는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울 점수는 20대 여성이 7.1로 가장 높았고, 우울 위험군 비율은 30대 여성이 31.6%로 가장 높았다.

올해 3월 극단적 생각 비율은 16.3%로 지난 2018년 4.7%(2020 자살예방백서)보다 약 3.5배 높았다. 이는 코로나 발생 초기인 지난해 3월(9.7%)과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치로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이 지표도 우울 분야와 마찬가지로 특히 20대와 30대가 22.5%, 21.9%로 가장 높았고 50대는 12.5%, 60대는 10.0%로 비교적 낮았다.

성별에 따른 극단적 생각 비율은 남성이 17.4%로 여성 15.1%보다 높았다. 20대 남성과 30대 남성은 25.0%로 전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고 20대 여성(19.9%), 30대 여성(18.7%)이 뒤를 이었다.

연구를 수행한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의 현진희 대구대 사회복지학 교수는 “2030은 4050보다 사회적으로 활발히 활동하는데 코로나19 제약을 받는 느낌이 더 강하게 받을 수 있다”며 “또 경제적으로 비정규직이나 플랫폼 노동자 등 불안정학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도 비교적 많고 1인 가구도 많아 고립감, 외로움을 느낄 가능성도 높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불안, 일상생활 방해정도 등과 관련한 지표는 나아졌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은 조사 결과 평균 1.7점(3점 기준)으로 지난해(1.8점)보다 감소했다. 불안 평균 점수도 4.6점(총점 21점)으로 지난해 5.1점보다 줄었다. 일상생활 방해 정도는 총 10점 가운데 4.4점으로 조사 이후 결과로는 가장 낮았다. 응답자는 사회‧여가활동(5.3점)에서 방해 정도가 가장 높다고 답했고 가정생활 방해(4.1점), 직업방해(3.9점) 등이 뒤를 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하며 국민의 우울감 지표가 이전보다 2배 악화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30 세대의 우울감이 높아 이 연령대의 10명 가운데 3명은 ‘우울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 아산병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하며 국민의 우울감 지표가 이전보다 2배 악화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30 세대의 우울감이 높아 이 연령대의 10명 가운데 3명은 ‘우울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 아산병원

심리적 지지자로는 ‘가족’을 뽑은 경우가 6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친구 및 직장동료가 21.3%,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9.6%였다. 다만 2030은‘가족’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44.0%, 57.2%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지만 친구 및 직장동료로 답한 경우가 36.2%로 다른 연령대(15.8~21.9%)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코로나19로 인해 필요한 서비스를 묻는 말에는 감염병 관련 정보(2.13점), 개인 위생물품(2.07점), 경제적 지원(2.04점) 등을 가장 원했다. 복지부는 정신과치료, 심리상담 등 정신건강 서비스 욕구도 지속해서 늘고 있다고 파악했다.

염민석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19로 많은 국민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나타나 현재 시행하고 있는 마음건강 대책을 강화해 추진하겠다”며“특히 20‧30대 청년의 정신건강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한 맞춤형 심리지원이 시급한 상황으로 관계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청년의 마음건강 회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