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회담 발표에 빠진 ‘북한’…미·일 발표엔 들어간 까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에 참석한 외교장관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앞줄 왼쪽부터 조셉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 대표, 도미닉 라브 영국 외교장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중간줄 왼쪽부터 하이코 마스 독일 외교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 마르크 가르노 캐나다 외교장관. 뒷줄 왼쪽부터 루이지 디마이오 이탈리아 외교장관,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장관. [AP=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에 참석한 외교장관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앞줄 왼쪽부터 조셉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 대표, 도미닉 라브 영국 외교장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중간줄 왼쪽부터 하이코 마스 독일 외교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 마르크 가르노 캐나다 외교장관. 뒷줄 왼쪽부터 루이지 디마이오 이탈리아 외교장관,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장관. [AP=연합뉴스]

새 대북정책을 발표한 미국의 한·미·일 공조 복원 압력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 북한을 본격적으로 상대하려면 3국 공조 강화를 더는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미 외교회담 발표 미묘한 차이 #미, 북핵보다 한·미·일 공조 방점 #미국은 북핵담당 배석 안 시키고 #한국, 미국담당 대신 일본담당 참석

미국은 지난 3일(현지시간) 런던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를 계기로 한·미 및 미·일 외교장관회담을 연이어 했다. 그런데 국무부의 양 회담 결과 발표문을 보면 이 같은 미국의 의지가 담겼다.

국무부의 미·일 회담 발표문에 담긴 북한 관련 내용은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우려 공유 ▶한·미·일 3각 협력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 의지 재확인 ▶미 국무장관의 (북한 내 일본인) 납치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 의지 표명 등이다. 그런데 한·미 회담 발표문엔 ‘북한’이란 단어는 아예 없었고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한·미·일 3각 협력을 비롯한 공통된 안보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만 돼 있다. 미국이 이번 회담에서 강조하고 싶은 포인트인 것이다. 이날 한·미 회담의 배석자 구성에서도 미국의 속내는 드러난다.

미국 측에서는 마크 내퍼 동아시아·태평양(동아태) 한·일 담당 부차관보가 배석했다. 국무부 내 북핵 협상 업무를 맡는 대북정책특별대표가 공석인 가운데 사실상 한반도 문제를 담당하는 한국계 정 박 동아태 부차관보는 동석하지 않았다.

정의용. [연합뉴스]

정의용. [연합뉴스]

관련기사

한국 측 배석자를 보면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외에 이상렬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이 이례적으로 배석했다. 한·미 회담에서 일본 담당 국장이 배석하고 미국 담당 국장은 빠진 생경한 풍경이 연출된 것이다.

이번 런던 회의 기간 중 한·미·일 회담에 이어 정의용 장관 취임 이후 첫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큰 것 역시 미국의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정 장관은 지난 3일 한·일 회담 개최 사실을 공개했다.

정부는 미국의 한·미·일 공조 강화 움직임에 적절히 호응하면서도 여전히 방점은 북핵 협의에 찍고 있는 모양새다. 한·미 회담 뒤 외교부가 낸 보도자료를 보면 국무부와는 달리 북핵 문제와 관련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담긴 반면 ‘한·미·일 협력’은 아예 빠졌다.

외교부는 “블링컨 장관이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공유했으며, 정 장관도 검토 결과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향으로 결정된 것을 환영했다”며 “양 장관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계속해서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의 주된 관심사가 서로 달랐던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