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이든 당선인" 호칭 쓴 文…'평화' 6번 '동맹' 5번 강조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바이든 후보의 당선을 우리 국민과 함께 축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성공하는 정부를 이끌어 나가길 기원한다”며 바이든 후보에게 ‘당선인’이라는 호칭을 썼다. 또한 바이든 정부를 “미국의 차기 정부”로 규정했다. 전날 문 대통령은 바이든 당선인에게 보낸 트위터 메시지에선 ‘당선인’, ‘당선’, ‘승리’, ‘대통령’ 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다만 문 대통령은 “공식적인 (바이든 당선) 확정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미국의 오랜 민주적 전통과 법치주의, 성숙한 시민의식의 가치 위에서 선거의 마지막 과정을 잘 마무리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미국 민주당 정부는 한국의 민주당 정부와 평화프로세스를 긴밀히 공조하고 협력해온 경험이 있다. 지난날을 교훈 삼으면서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정착에 더 큰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나가겠다”며 "우리 정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흔들림 없이 추진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북한 비핵화와 종전 선언을 통해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항구적 평화체제를 구축하자는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평화’를 여섯 차례나 언급했지만 '종전 선언'이란 표현은 쓰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한·미 간 튼튼한 공조와 함께 남과 북이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해나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 해결 방식에 있어서 ‘트럼프 시대’와 차별화를 꾀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 남한이 한반도 문제의 주인으로서 운전대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2019년 2월 북·미 정상회담이 ‘하노이 노딜’로 끝난 뒤 한반도 문제의 협상축이 북·미 직접 접촉으로 옮겨가면서 ‘운전자론’은 상대적으로 약화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앞서 바이든 당선인은 국제 관계 전문 잡지 ‘포린 어페어스’ 3/4월호에 실린 기고문에서 “북한 비핵화라는 우리가 공유하는 목표를 진전시키기 위해 동맹국, 다른 국가, 심지어는 중국과 협력해서 일관되고 조율된 캠페인에 시동을 걸 것”이라고 했다. 북한 비핵화를 위한 다자적 접근을 강조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동맹’이라는 단어도 다섯 차례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나와 우리 정부는 미국의 차기 정부와 함께 한·미 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고, 양국 국민의 단단한 유대를 계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동맹 강화’를 강조해왔다.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달 29일 연합뉴스에 보낸 기고문에서 한국을 “강력한 동맹”으로 칭하며 “우리의 군대를 철수하겠다는 무모한 협박으로 한국을 갈취하기보다는, 동아시아와 그 이상의 지역에서 평화를 지키기 위해 우리의 동맹을 강화하면서 한국과 함께 설 것”이라고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바이든 당선인의 경제 정책과 유사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강력한 한·미 동맹의 또 다른 축은 탄탄한 경제 협력”이라며 “바이든 당선인이 강조하는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 정책은 우리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및 그린 뉴딜 정책과 일치하므로 협력의 여지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승리를 선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EPA=연합뉴스]

승리를 선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EPA=연합뉴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