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산·경남·충남 ‘병상 급구’…확진자 쏟아지면 갈 곳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지난달 28일 대전 충남대학교병원에서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이동형음압기를 설치하고 있다. 이날 대전지역에서 3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뉴스1]

지난달 28일 대전 충남대학교병원에서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이동형음압기를 설치하고 있다. 이날 대전지역에서 3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환자가 전국적으로 빠르게 늘면서 지방자치단체마다 병상·인력확보 등에 비상이 걸렸다. 환자가 대규모로 나올 경우 대구처럼 확진 환자가 제대로 입원 치료를 받지 못하는 불상사가 우려돼서다. 전문가들은 자치단체 준비가 제대로 안 돼 있다고 지적한다.

지자체 코로나19 음압병상 꽉 차 #전담병원 지정 추가 확보 비상 #의료진·마스크·방호복도 부족 #대구처럼 입원 대기 불상사 우려

부산의료원과 부산대병원 등에 국가지정 음압 병상 51개를 확보한 부산에선 코로나19 환자가 이를 초과한 79명 발생했다. 초과 환자는 코로나19 전담 병원으로 지정돼 이동형 음압기를 추가로 갖추는 부산의료원에 이송된다. 음압 병상은 병실의 기압을 낮게 해 내부 바이러스가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병상이다. 부산은 전담병원인 부산의료원(전체 548병상)의 중증 환자 8명을 제외한 기존 환자를 모두 다른 병원에 옮겼지만, 추가 수용할 수 있는 환자도 268명(병상)밖에 안된다. 감염병 특성상 3~6인실에 2~3명 정도 수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산시가 환자급증에 대비해 국군부산병원(전체 230병상)을 추가 전담병원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보건복지부를 통해 국방부와 협의하는 이유다. 그러나 국군부산병원도 입원환자 60명을 전원 조치하고 협의 완료하기까지 상당 시일이 소요되고 전원 조치 후 150명 정도만 수용할 수 있다.

36개 음압 병상을 갖춘 경남도는 마산의료원을 1차, 국립마산병원을 2차 전담병원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경남에선 2일 현재 환자 61명이 발생했다. 하지만 국립마산병원에는 이미 대구에서 온 65명을 수용해 더는 병상이 없는 상황이다. 경남도는 마산의료원(298병상)이 꽉 찰 경우 양산부산대병원(60병상)을 활용할 계획이다.

환자 78명이 발생해 음압 병상 27개를 초과한 충남도는 천안의료원 전체를 전담병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음압 병상이 37개뿐인 대전시도 제2시립 노인전문병원 164개 병상 등 221개 병상을 추가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의료진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부산 연제구는 연제구의사회 협조를 받아 의사와 간호사, 병리사 등 18명을 병원 진료가 끝난 뒤 보건소 선별진료소에 투입하고 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기존 보건소 의사 2명만으로는 의심환자 진료와 검사 업무를 감당할 수 없다고 판단해서다. 부산 동래보건소에도 민간 의료진이 투입되고 있다.

부산의료원 관계자는 “환자 43명이 입원한 부산의료원에선 전담대응팀 8명 외에 의사 100명을 투입하고 있지만, 환자가 하루 100~200명씩 발생하면 자체인력으론 감당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조석주 부산대 응급의학과 교수는 “초기에는 감염확산 차단 위주였다면, 지금부터는 대규모 발생에 대비해 중증은 대학병원 등에 입원 조치하고, 경증은 작은 병원에 입원 또는 자가격리하게 하는 등 철저히 분리해 치료받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역용 마스크와 방호복 같은 물품 확보에는 많은 예산과 함께 상당 시간이 요구된다. 부산시는 환자 증가에 대비해 확진자 이송용 방호복을 추가 확보(현재 3000개)하기 위해 국비요청을 해놓았다. 또 11만3000개의 방역용 마스크와 1만2000여개 손 소독제 등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수요가 많아 방역 물품 확보에 적어도 일주일 이상 걸린다. 사전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환자가 급증할 경우 자치단체들은 장비를 긴급구매하거나 민간의료기관 지원으로 조달하고, 인력은 국방부와 민간의료기관 지원인력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재갑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대구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서울·경기는 어느 정도 버틸 수 있을지 모르지만, 대학병원이나 공공병원이 적은 자치단체는 준비가 제대로 안 돼 있어 감당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부산·대전·창원·광주=황선윤·신진호·위성욱·진창일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