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방학되자 학원으로 옮겨간 코로나 걱정, 교육부 “방역 강화”

중앙일보

입력

서울의 한 학원가 모습. [연합뉴스]

서울의 한 학원가 모습. [연합뉴스]

서울 성동구에 거주하는 한모(36)씨는 19일 성동구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걱정이 커졌다. 초등학교 1학년 자녀 학교는 봄방학에 들어갔지만 당장 이날만 학원 두 곳을 가야 하기 때문이다. 한 씨는 “아이가 다니는 학원 한 곳은 확진자가 거주한 사근동 근처에 있어 보내도 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초·중·고교가 대부분 학기를 종료하고 봄방학에 들어가면서 학교가 대규모 휴업에 돌입하는 상황은 당분간 없을 전망이다. 하지만 방학 기간에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학원에 대한 불안은 더 커지게 됐다. 잠시 주춤하는 듯했던 신종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 커지면서 학부모들은 학원을 보내야 하나 고민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79.8%는 학사 일정이 종료됐다. 감염 우려로 휴업한 곳은 18일 기준으로 18곳에 불과하다. 학원도 대부분 정상 운영하는 중이다. 휴원한 학원·교습소는 지난 10일 357곳에 달했지만, 점차 줄어 18일에는 19곳에 그쳤다. 유증상자가 발생한 학원은 아직 없다.

학교는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에서 휴업 명령을 내릴 수 있지만, 민간 사업자인 학원의 경우 교육 당국이 문을 닫게 하기 어렵다. 앞서 서울과 전남, 전북 일부 지역에서는 확진자 발생에 따라 학원에 휴원을 권고하기도 했지만, 실제 문을 닫을지는 학원 판단에 달려있다.

성동구에서 음악 학원을 운영하는 A씨는 “코로나 때문에 신규 학생 모집도 어려운데 휴원까지 해야 하나 고민이다”며 “휴원을 한다고 월세가 미뤄지는 것도 아니라 철저히 소독하고 아이들을 받아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성동구의 한 미술학원은 학부모들에게 “학생들이 하원한 이후 건물 전체 방역 소독 작업을 실시하겠다”는 문자를 보내면서 학부모 안심시키기에 나섰다.

교육부 “확진자 발생지역 휴원 검토”

교육부는 봄방학이 시작되면서 감염 우려가 학원으로 집중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부는 중국에 다녀온 학생과 강사는 입국 후 14일간 학원 등원을 중지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이나 이동한 지역은 학부모 의견을 수렴해 휴원을 검토하도록 했다. 또 학원이 손소독제와 마스크 등을 비치하고 방역을 철저히 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교육부와 교육청 합동 점검을 하기로 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감염병으로 격리될 경우 학원비를 돌려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중 학원법 시행령을 개정해 학습자가 격리될 경우 이미 납부한 학원비를 일할 계산해 반환하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교육부는 경기도 수원에서 발생한 11세 초등학생 확진자의 경우, 다니던 학교가 1월 3일에 종업식을 했기 때문에 학생들과 접촉은 없었다고 밝혔다. 해당 학생은 2월 2일부터 자가격리돼 18일 확진됐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