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칼럼] 일자리 문제 헤쳐 나가려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경자년에도 ‘취업’은 무엇보다 우선하는 소원이다. 2019년 고용은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도 회복하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11월 고용률은 67.4%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그러나 ‘경제 허리’인 40대의 고용이 좋지 않다. 청년 실업률은 2012년 이후 가장 낮지만 구직 현장의 청년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올해 경제도 불확실성 속에 있다. 생산가능 인구가 빠르게 줄면서 취업자 수 증가는 제약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로선 2019년의 긍정적인 변화는 이어가고 부족한 점은 보완하는 일자리 정책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민간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100조원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세제 지원을 통해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기로 한 이유다. 산업·노동·공공부문 혁신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 혁신 인프라 강화 등 5대 구조 혁신은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는 데 불가피하다.

정부 주도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확대할 필요성은 커지고 있다. 올해 일자리사업 예산은 전년 대비 20.1% 증가한 25조5000억원이다. 현장 수요 맞춤형으로 인력을 양성하고 개인별 특성에 맞게 취업을 지원하는 데 집중적으로 투입된다. 특히 지역별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고용위기가 우려되는 지역에 지방자치단체가 선도해 대응할 수 있는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사업을 시행하는 까닭이다.

청년·여성 등에 대한 맞춤형 정책은 더 고도화·세밀화해야 한다. 청년과 중소기업의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한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 등 3대 핵심사업을 효과 중심으로 재편한 것도 그 때문이다. 부부 동시 육아휴직, 가족돌봄 휴가와 휴직범위 확대는 일·가정 양립을 확산하기 위한 조치다. 40대 고용 대책도 관계 부처가 머리를 맞대 올해 1분기 중 내놓을 계획이다.

더불어 고용 안전망 강화는 오래된 숙제다.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구직자가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돕는 ‘국민 취업지원제도’, 실직·재직 여부와 관계없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국민 내일배움카드’가 있다. 설령 실직해도 재취업으로 빠르게 이어지게 하는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저성장과 생산가능 인구 감소 등 올해 여건은 녹록지 않다. 그럼에도 핵심 관심사는 고용이다. 적정한 예산 집행에 민간의 노력이 더해지면 고용시장의 활성화도 그리 어려운 과제는 아니지 않을까.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