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MK 사람' 우유철 용퇴···정의선, 현대차 친정체제 강화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11월 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MIF)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11월 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MIF)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현대자동차그룹]

우유철 현대로템 부회장이 퇴임했다. 

우 전 부회장은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측근 인사다. 아버지와 함께했던 인사들이 물러나면서 취임 15개월째를 맞이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의 친정체제는 강화하고 있다.

우유철 현대로템 부회장 물러나

현대차그룹은 우 부회장이 9일 자로 퇴임한다고 이날 밝혔다. "후배 경영진 중심의 경영 혁신 추진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우 부회장은 현대중공업 출신으로 한보철강 인수를 추진하기 위해 현대제철로 자리를 옮긴 뒤 회사를 이끌어왔다. 그는 정 회장의 숙원사업인 일관제철소 건설을 주도했었다.

9일로 퇴임하는 우유철 현대로템 부회장 [중앙DB]

9일로 퇴임하는 우유철 현대로템 부회장 [중앙DB]

정 수석부회장 친정체제는 지난해 12월 모습을 드러냈다. 그해 9월 현대차그룹을 총괄하게 된 정 수석부회장은 연말인사에서 아버지의 가신 그룹에 속했던 인사들을 경영일선에서 물러나게 하거나 주요 계열사로 자리를 이동시켰다.

당시 퇴임한 양웅철·권문식 당시 부회장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양 전 부회장은 정 회장이 2004년 영입해 15년 동안 현대차그룹의 연구개발(R&D) 부문을 이끌었다. 권 전 부회장은 정 회장이 1980년대 사장을 지낸 현대정공(현대모비스) 출신으로 제철사업의 토대를 닦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015년 1월 2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에서 열린 2015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015년 1월 2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에서 열린 2015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 부회장의 퇴임으로 정 수석부회장을 제외한 현대차그룹 내 부회장은 총 4명이 됐다. 아버지 세대의 가신그룹 중에선 김용환 현대제철 부회장과 윤여철 현대차그룹 부회장, 정진행 현대건설 부회장이 남았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 5일 하언태 현대차 사장을 승진·임명하는 등 50대를 전면에 앞세우는 인사를 단행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016년 12월 6일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청문회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으로 들어가고 있다. 정 회장의 아들 정의선 당시 부회장(뒤)이 동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016년 12월 6일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청문회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으로 들어가고 있다. 정 회장의 아들 정의선 당시 부회장(뒤)이 동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부 교수는 "정 수석부회장이 지난해 9월 그룹의 선두에 나섰을 시점에 물러났어야 하는 분들"이라며 "정 수석부회장이 조직을 완전히 장악하면서 미래차, 친환경차에 사활을 걸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버지의 사람들은 물러났지만, 아버지가 남긴 숙제는 그대로다.

현대차그룹이 서울 삼성동 부지에 건설할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조감도 [사진 현대차]

현대차그룹이 서울 삼성동 부지에 건설할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조감도 [사진 현대차]

현대차그룹은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공사 부지에 그룹 본사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 회장이 2014년 결정한 숙원 사업인데 건축비 3조7000억원을 조달해야 한다. 정 수석부회장은 미래차 등 경영 전반에 2025년까지 총 61조원을 투자키로 한 상황이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는 현대차가 투자 여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수년 후 유럽·미국 등 세계주요시장에서 현대차그룹 차 판매가 둔화하면 투자금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