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 연구, 휴일도 출근, 휴가는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학 실험실 환경은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최근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는 지방과 서울간 차이가 크지 않다고 과학기술자문회의 측은 말한다. [중앙포트]

대학 실험실 환경은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최근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는 지방과 서울간 차이가 크지 않다고 과학기술자문회의 측은 말한다. [중앙포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이공계 대학원생 설문조사

‘1년 중 절반은 한국에 없음. 학생지도 및 연구 안 함. 어떤 것도 배울 수 없음. 이미 많은 사람이 떠났음.’ ‘밤낮 구분 없이 심부름 전화 받고 싶으신 분, 논문지도 및 세미나 중 욕설 듣고 싶으신 분, 쉬는 날에 출근했는지 감시당하고 싶으신 분, 연구비가 어디론가 줄줄 새는 거 직접 경험하고 싶으신 분은…. 이만 줄입니다.’

이공계 대학원 평가 사이트인 ‘김박사넷’에 올라온 교수와 연구실에 대한 ‘한 줄 평가’내용 중 일부다. 교수와 연구실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적지 않지만, 신랄한 악평 또한 적지 않다. 국내 이공계 대학원 연구실의 현실은 실제로 어느 정도에 와 있을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30일 국내 이공계 대학원생 133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등록금 면제와 장학금 혜택 등 경제적 부문에 대한 지원은 상당 부분 만족스럽지만, 연구 인프라와 환경 등에 대해서는 엇갈린 평가가 적지 않았다.

대학 연구실과 사회의 근무 여건은 하늘 땅 차이

특히 응답자의 62%가 “주중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 연구실에 머무른다”고 대답했으며, 휴일 출근이 강제되는 경우도 15%, 공식적인 휴가가 없는 경우도 2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ㆍ박사 학생들이 있는 대학 연구실과 일반 직장의 여건을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주 52시간제가 법적으로 강제되고 있는 캠퍼스 바깥 사회 분위기와는 하늘 땅 차이인 셈이다.

이처럼 열악한 연구 환경 때문일까. ‘대학원 입학 시점으로 돌아간다면, 현재의 학과ㆍ대학ㆍ연구실을 선택하겠다’는 응답은 전체의 37%에 불과했다. 현재의 국내 대학 연구실 대신 유학(20%)을 떠나거나, 차라리 취업(20%)을 하겠다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논문지도와 경제적 지원은 비교적 고른 편

하지만 지도교수의 논문ㆍ연구 지도에 대한 응답은 대체로 만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지도를 ‘주 1회 이상’ 받는다는 응답자가 64%로 나타났으며, ‘월 1~2회 정도’라는 응답은 26%였다. 하지만 응답자의 10%는 지도교수의 논문ㆍ연구지도가‘거의 없다’고 응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공계 대학원생들은 조교활동, 연구과제 수행 등을 통해 월 평균 ‘100만~ 125만원’을 지원받는다고 응답한 경우(18%)가 가장 많았으나, 응답자의 분포가 월평균 ‘25만원 미만’(3%)부터 ‘300만원 이상’(1%)까지 매우 넓은 것으로 조사돼, 학교별ㆍ학생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전국 대학들이 비교적 큰 차이가 없는  편이지만, 근무 인프라와 환경은 탑 스쿨과 지방 대학의 차이가 큰 편”이라며 “이공계 대학원생은 우리의 미래 과학기술 역량을 좌우할 핵심축이므로, 뛰어난 연구자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잘 갖추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